제주 ‘평화의 소녀상’ 얼굴에 상처···정부에 전국 소녀상 보호대책 마련 촉구

얼굴에 상처난 제주 평화의 소녀상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피해자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수요집회가 열린 10일 제주시 노형동 방일리공원의 ‘평화의 소녀상’ 얼굴 왼쪽 이마에 약 7cm 길이의 상처가 나 있다. 소녀상 건립을 추진한 제주평화나비에 따르면 이 긁힌 자국은 지난달쯤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장 주변에 폐쇄회로(CC)TV가 없어서 누구의 소행인지는 파악을 하지 못하고 있다. 연합뉴스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피해자들이 겪은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되돌아보기 위해 제주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 얼굴 부분에 길쭉한 모양의 상처가 생겨 시민사회단체가 반발하고 나섰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대학생 네트워크 제주평화나비’(제주평화나비)는 10일 제4차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을 맞아 제주 방일리공원 소녀상 앞에서 연 ‘수요집회’에서 “얼마 전 소녀상에 원인 불명의 긴 상처가 났다”면서 “소녀상 훼손, 이전, 철거는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소녀상 얼굴 왼쪽 이마에서 눈썹을 가로지르는 이 상처는 길이가 약 7㎝ 정도다.
제주평화나비는 “폐쇄회로(CC)TV가 설치되지 않아서 누가 그랬는지, 의도가 뭔지 등을 확인할 길이 없다”면서 “소녀상은 평화와 인권의 상징이자 역사교육의 장이며, 시민들의 소유이기에 어떤 훼손도 있어선 안된다. 정부는 외부의 훼손 시도로부터 전국의 소녀상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주평화나비는 또한 이날 집회에서 “위안부 피해자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은 한·일 외교장관 위안부 합의는 무효”라며 피해자들에 대한 개별 접촉과 화해 치유재단 운영을 중단하고 일본과 위안부 문제를 전면 재협상할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은 1991년 8월 14일 처음으로 자신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였음을 고백한 고 김학순 할머니를 기리기 위한 날이다.
소녀가 두 손을 모은 채 다소곳하게 앉아있는 모습의 제주 ‘평화의 소녀상’은 가로 180㎝, 세로 160㎝, 높이 150㎝ 크기로 조성됐다.
제주에 세워진 소녀상은 다른 지역에 세워진 것과 달리 머리 한쪽 끝이 바람에 살짝 날리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여기에는 전 세계에 평화의 바람이 불길 희망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소녀상 바닥에는 침략전쟁과 일제 식민지배, 암울했던 제주 4·3 사건 속에서 인권을 유린당한 제주의 여인을 상징하는 그림자와 억울한 죽음을 뜻하는 동백꽃이 새겨져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