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신문 안수찬 기자가 자신의 SNS에 ‘문빠’(문재인 대통령 열성 지지자)를 비판하는 글을 올렸다가 논란에 휩싸였다.
한겨레 안수찬 기자 “덤벼라 문빠들”…사과에도 논란 ‘일파만파’ 사진=안수찬 기자 페이스북 캡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한겨레 안수찬 기자 “덤벼라 문빠들”…사과에도 논란 ‘일파만파’
사진=안수찬 기자 페이스북 캡처
안 기자는 15일 밤 “편집장 2년 하고 기자들이 만들어준 표지액자 하나 받았다”며 “신문에 옮긴 뒤로 시간이 좀 남는다. 붙어보자. 늬들 삶이 힘든 건 나와 다르지 않으니 그 대목은 이해하겠다마는, 우리가 살아낸 지난 시절을 온통 똥칠하겠다고 굳이 달려드니 어쩔 수 없이 대응해줄게“라고 발언했다. 안 기자는 ”덤벼라. 문빠들“이라는 말로 글을 마쳤다.
이는 최근 한겨레21에 제기된 ‘문재인 대통령 표지’ 논란 등 한겨레를 비롯한 진보언론에 이른바 ‘문빠(문재인 대통령 열성 지지자)’의 비판이 거세진 데 대한 글이었다.
안 기자의 해당 글에는 누리꾼들의 비난이 폭주했다. 누리꾼들은 안 기자에 대해 비판, 욕설 비난, 조롱 댓글을 쏟아냈다. 이후 인터넷 커뮤니티에 안 전 편집장의 페이스북 캡처 사진이 돌면서 안 전 편집장을 비난하는 댓글의 화력이 거세졌다.
이에 안 기자는 해당 글을 삭제하고 사과문을 올렸다. 그는 “죄송합니다. 술 마시고 하찮고 보잘것없는 밑바닥을 드러냈습니다”라며 “문제가 된 글은 지웠습니다. 한겨레에는 저보다 훌륭한 기자들이 많습니다. 저는 자숙하겠습니다. 부디 노여움을 거둬주십시오. 거듭 깊이 사과드립니다”라고 말했다. 해당 글에는 1만 개가 넘는 댓글이 달렸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