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 주종완 항공정책실장(왼쪽)이 3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무안 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브리핑’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오른쪽은 유경수 항공안전정책관. 2024.12.31 연합뉴스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와 관련해, 여객기가 충돌한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 처음부터 콘크리트 둔덕 형태로 설계됐으며 이후 두께 30㎝의 콘크리트 상반이 추가 설치됐다고 국토교통부가 밝혔다.
또 엔진이 모두 고장날 경우 유압 계통을 통해 랜딩기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처음으로 밝혔다.
국토부는 3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종완 국토부 항공정책실장 주재로 진행한 브리핑에서 “(로컬라이저는) 최초 설계 때도 둔덕 형태 콘크리트 지지대가 들어가 있는 형태”라며 “그 뒤 개량사업을 진행하며 분리된 말뚝 형태에 두께 30㎝ 콘크리트 상반을 (추가로) 설치해 보강했다”고 설명했다.
콘크리트를 사용한 것에 대해서는 “지지대를 설치할 때 비바람에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서”였다며 “(종단) 안전 구역 밖에 있으니 재료에 제한받지 않는다고 판단해 콘크리트 지지대를 받친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토부는 또 “2개 엔진이 모두 고장나면 유압 계통에 이상이 생겨 랜딩기어 작동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면서도 “모든 게 다 고장났을 때 수동으로 할 수 있는 레버가 있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