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1회 모의고사 본다면 특정 과목에 매달린다면
수능시험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수험생의 올바른 생활 리듬부터 효율적인 마무리 학습 요령까지, 남은 시간을 어떻게 보내느냐에 따라 결과는 달라지게 마련. 비상공부연구소 박재원 소장과 함께 수능 30일 전 수험생이 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에 대해 짚어 봤다.
남은 시간이 넉넉하지 않은 만큼 공부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교과내용 중에서 ▲잘 아는 부분 ▲대충 알지만 확실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 등 세 가지가 있다면 앞으로는 ‘두 번째’에 전력투구해야 한다. 수능처럼 중요한 시험에서는 주어진 시간 동안 최대의 효과를 보는 방법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수능도 ‘백문불여일견’(百聞 不如一見). 비슷한 문제를 많이 풀어본 학생이 실제 시험에서도 좋은 결과를 얻는 법이다. 수능에서 고득점을 올리는 학생들은 한결같이 실전 모의고사를 통해 컨디션을 점검했다고 말하는 것도 같은 이치다. 평균적으로 1주일에 한번 이상 직접 모의고사를 봐야 시험 당일 감각을 최상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수능은 모든 영역의 시험을 하루에 치른다. 따라서 남은 기간 매일 조금씩 모든 과목과 관련된 공부를 하는 것이 두뇌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 특정 과목이 부족하다는 구실로 한곳에 오래 매달리다 보면 나머지 과목에 대한 ‘감’이 떨어진다. 특정 과목의 공부가 시급하다면, 주력 과목을 먼저 학습하고 나서 나머지 과목을 적어도 10분씩 살펴보는 게 좋다.
모든 수험생의 바람은 빠진 부분 없이 완벽히 교과 내용과 문제를 통달한 상태에서 시험 고사장에 들어가는 것. 그러나 남은 시간과 현실을 직시하고, 포기할 것은 과감하게 버리되 조금만 노력하면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있는 부분을 선택해 집중적으로 공부하는 게 유리하다.
수능시험이 다가올수록 모든 수험생은 초조해지기 마련이다. 하지만 지나치게 시간을 의식하게 되면 학습 능률이 떨어지고, 두뇌도 불필요한 방향으로 에너지를 소모한다. 따라서 계획을 세워 충실히 준비하고 있는지를 스스로 점검하되 수능 당일에는 최고의 상태로 시험에 응할 수 있도록 마음을 다잡아야 한다.
또 중요한 시험을 앞두고 신경이 날카로워져 이를 핑계로 가족에게 감정적으로 반응하기 쉽다. 주변에 어른이 있다면 ‘이들도 이미 나와 같은 과정을 겪어 왔다.’고 편하게 생각하고, 이 시기를 슬기롭게 보내는 조언을 구하는 것도 좋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0-10-19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