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학점 인플레’ 사실로 … 4년제 대학생 10명 중 9명 ‘B학점’ 이상

대학 ‘학점 인플레’ 사실로 … 4년제 대학생 10명 중 9명 ‘B학점’ 이상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1-04-30 06:00
수정 2021-04-30 06: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20년 B학점 취득 재학생 비율
2020년 B학점 취득 재학생 비율 교육부
지난해 4년제 대학생 10명 중 9명 가까이가 과목별 B학점 이상을 취득한 것으로 나타나 코로나19로 인한 ‘학점 인플레’ 현상이 통계로 확인됐다. 등록금을 반환해달라는 목소리가 높은 가운데 총 9개 대학이 지난해 등록금을 인하했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30일 발표한 ‘2021년 4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4년제 대학생 중 과목별 B학점 이상을 취득한 비율은 87.5%로 전년(71.7%) 대비 15.8%포인트 늘었다. 코로나19로 대학이 비대면 강의를 하면서 상대평가를 절대평가로 전환하거나 상대평가 기준을 완화하는 등 학점을 잘 준 데 따른 ‘학점 인플레’ 현상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8월과 올해 2월 4년제 대학을 졸업한 학생 중 환산점수 80점 이상을 받은 비율은 91.8%로 전년(89.9%)보다 1.9%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4년제 대학 195개교 중 191개교가 명목 등록금을 인하하고 5개교는 등록금을 인하했다. 전문대학 133개교 중에서는 129개교가 명목 등록금을 동결하고 4개교가 인하했다. 4년제 대학의 연간 평균 등록금은 673만 3500원으로 전년(672만 5900원) 대비 7600원 증가했다. 계열별로는 의학(976만 1000원), 예체능(773만 4800원), 공학(721만 800원), 자연과학(679만 5800원), 인문사회(592만 8800원) 순이었으며 사립대학은 749만 2100원, 국공립대학은 418만 4600원이었다. 전문대 연간 평균 등록금은 597만 4100원으로 전년(596만 2000원) 대비 1만 2100원 증가했다.

올해 1학기 4년제 대학의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은 67.1%로 2020년 1학기(66.7%)보다 0.4%포인트 상승했으며 강사의 강의 담당 비율은 21.0%로 전년 대비 0.6%포인트 상승했다. 사립대의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은 68.3%로 국공립대학(63.5%)보다 4.8% 높았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김영철 서울시의원 “성내초 증축·동북중·고 교육여건 개선 시급”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영철 의원(국민의힘, 강동5)은 지난 18일 개최된 서울시교육청-국민의힘 정책협의회에서 AIDT(교육자료) 전환 대책, 노후 교사동 안전관리, 학교업무 경감 방안과 함께 성내초등학교 증축 및 환경개선, 동북중·동북고 교육여건 개선 등 지역 현안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AIDT 전환, 학생 학습권 보호가 최우선 김 의원은 초·중등교육법 개정으로 AIDT의 법적 지위가 ‘교과서’에서 ‘교육자료’로 전환된 상황과 관련해 “학교 현장에서 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신속한 후속 조치와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며 “특히 학생 학습권이 흔들리지 않도록 교육청이 적극적으로 역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후 교사동 안전, 사전 예방 관리체계 강화해야 이어 김 의원은 노후 교사동 안전관리 종합대책과 관련해 “이미 서울의 35%가 40년 이상 노후 건축물인데, 학생 안전은 결코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C등급을 세분화하고 IoT 기반 실시간 감시체계를 도입하는 등 선제적 관리로 개학 연기 같은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성내초 증축·급식환경 개선, 학생 건강권 보장해야 특히 김 의원은 강동구 성내초등학교 증축안과
thumbnail - 김영철 서울시의원 “성내초 증축·동북중·고 교육여건 개선 시급”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