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제 대학 6곳, 올해 등록금 올렸다

4년제 대학 6곳, 올해 등록금 올렸다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2-04-29 15:17
수정 2022-04-29 15: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동·경주·세한·영남신학·전주교대·청주교대 국가장학금 Ⅱ 참여 금지

2022년 설립구분·소재지별 평균 등록금(단위 천원). 자료 교육부
2022년 설립구분·소재지별 평균 등록금(단위 천원). 자료 교육부
4년제 일반대학 대부분이 올해 등록금을 동결하거나 인하했지만, 6개 대학은 올렸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4년제 일반대학과 교육대학의 194개 학교를 대상으로 한 2022년 4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를 29일 발표했다.

올해 1학기 등록금을 동결한 곳은 180개교, 인하한 곳은 8개교로 전체의 96.9%(188개교)를 차지했다. 그러나 경동대, 경주대, 세한대, 영남신학대, 전주교대, 청주교대 6개교는 등록금을 인상했다. 이에 따라 이들 대학은 올해 국가장학금 Ⅱ유형 사업에 참여할 수 없다.

학생 1인당 연평균 등록금은 676만 3100원으로 지난해 674만 4700원보다 1만 8400원 늘었다. 등록금이 상대적으로 높은 예체능과 공학계열 등의 입학정원이 증가하면서 평균 등록금이 많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계열별 평균 등록금은 의학계열이 976만 9500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예체능(775만 6400원)과 공학(723만 7500원), 자연과학(682만 7400원), 인문사회(594만 8700원) 순이었다.

사립대학 학생 1인당 연평균 등록금은 752만 3700원이었다. 국공립대는 419만 5700원이었다. 수도권 대학 1인당 평균 등록금은 761만 9300원, 비수도권은 622만 6800원이었다.

학생 수 1000명 이상 4년제 대학 중 등록금이 가장 비싼 곳은 2020년과 2021년에 이어 올해도 연세대가 1위에 올랐다. 이어 신한대(912만 200원), 명지대(911만 7700원), 한국공학대(903만 4600원) 순이었다. 1000명 미만까지 포함하면 의대 중심의 을지대(1038만 7700원)가 가장 높았다.

올해 4년제 대학에 입학한 1학년 신입생의 평균 입학금은 7만 2000원으로, 지난해 17만 3800원보다 58.6% 감소했다. 교육부가 2018학년도 신입생부터 단계적으로 입학금 폐지를 유도하면서다. 국공립대학 39곳은 2018학년도부터 입학금을 폐지했고, 사립대도 155곳 중 90곳이 올해부터 입학금을 없앴다.

코로나19로 인한 ‘학점 인플레’ 현상이 이어졌다. B학점 이상 취득한 재학생 비율은 83.4%로 지난해 87.5%보다 4.1%포인트 줄었지만, 코로나19 확산 전인 2019년 71.7%보다 11.7%포인트 높다. 환산점수 80점 이상을 취득한 졸업생(2021년 8월, 2022년 2월 졸업) 비율은 93.6%로 지난해 91.8%보다 1.8%포인트 늘었다.

전병주 서울시의원, 광복80주년 경축식 참석... “선열의 희생 기억하며 미래로 나아가야”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전병주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 광진1)은 지난 20일 광진구보훈회관에서 열린 광복회서울시지부 광진구지회(지회장 권오철) 주최 ‘광복 80주년 경축식’에 참석해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고 순국선열의 희생을 기리는 자리에 함께했다. 이번 경축식은 광복 80주년을 맞아 주민들이 함께 모여 나라를 되찾기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들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고, 이를 미래 세대에 전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고민정 국회의원을 비롯해 광복회 회원, 지역 인사와 주민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전 부위원장은 “광복은 수많은 선열의 희생 위에 이룬 값진 결실”이라며 “오늘 우리가 누리는 자유와 번영은 독립운동가들의 헌신 덕분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이어 “광복의 역사는 결코 과거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오늘을 사는 우리가 지켜야 할 정신이자 내일을 밝히는 등불”이라고 강조했다. 경축식에서는 축사와 함께 광복절 노래 제창, 만세 삼창이 진행됐으며, 물푸레 합창단이 참여한 합창 공연과 감사 편지 낭독 행사가 이어져 깊은 울림을 더했다. 끝으로 전 부위원장은 “선열들의 숭고한 정신을 잊지 않고 실천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광복의 완성”이라며 “서울시의회에서도
thumbnail - 전병주 서울시의원, 광복80주년 경축식 참석... “선열의 희생 기억하며 미래로 나아가야”

올해 1학기 전임교원이 강의를 담당하는 비율은 66.1%였다. 지난해 1학기보다 1.0%포인트 줄었다. 그러나 강사가 강의하는 비율은 21.4%로 0.4%포인트 늘었다. 교육부 관계자는 “대면 수업이 줄면서 절대평가가 확대됐기 때문”이라며 “대면 수업이 확대되면 높은 학점을 받는 비율은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