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수업결손이 부추긴 사교육… 고3, 한 달에 8만 8000원 더 쏟았다

팬데믹 수업결손이 부추긴 사교육… 고3, 한 달에 8만 8000원 더 쏟았다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3-06-12 00:53
수정 2023-06-12 06: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수강시간도 주 2시간 15분 늘어

이미지 확대
국내 사교육의 메카로 불리는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의 모습. 서울신문 DB
국내 사교육의 메카로 불리는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의 모습.
서울신문 DB
코로나19 시기 학교 폐쇄에 따른 수업 결손이 고3의 사교육비 지출과 수강 시간을 늘렸다는 분석이 나왔다.

11일 한국교육개발원 금종예 부연구위원과 모영민 부연구위원이 작성한 논문 ‘고등학생의 사교육 비용과 시간에 대한 코호트 간 비교 분석: 코로나19 시기의 학교 폐쇄 효과를 중심으로’에 따르면 2020년 학교 폐쇄가 일반계고 3학년생들의 월평균 사교육비(2020년 소비자물가로 조정한 가격 기준)를 약 8만 8000원 증가시킨 것으로 분석됐다. 일주일 평균 사교육 시간도 약 2시간 15분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2009년 고2, 2010년 고3이었던 3083명과 2019년 고2, 2020년 고3이었던 4269명을 대상으로 10년의 시차를 둔 두 집단을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2020년 고3은 한 달가량 늦은 4월 9일 개학했고 5월 20일 처음으로 대면 등교했다.

모든 소득집단에서 코로나19 시기 학교 폐쇄에 따른 수업 결손이 사교육비를 증가시킨 것으로 파악됐다. 2020년 고3 가구소득을 3분위로 나눴을 때 저소득 집단에서 월평균 사교육비를 약 8만원, 중간소득 집단 8만 4000원, 고소득 집단에서 10만 3000원을 각각 증가시킨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학교 폐쇄로 수업 공백이 나타났을 때 고등학생들은 사교육에 시간과 비용을 보다 많이 투자해 공백을 최소화하고자 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2023-06-12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