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제주 프로젝트 동행 제주… 1년간 한라산 높이 194배의 일회용컵 절약

에코제주 프로젝트 동행 제주… 1년간 한라산 높이 194배의 일회용컵 절약

강동삼 기자
강동삼 기자
입력 2022-07-27 10:28
수정 2022-07-27 10: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제주도청 카페 ‘아이 갓 에브리싱’(I got everything)에 설치된 다회용컵 무인 반납기.
제주도청 카페 ‘아이 갓 에브리싱’(I got everything)에 설치된 다회용컵 무인 반납기.
1회용 컵 대신 다회용 컵 사용을 권장하는 ‘에코제주 프로젝트’에 제주도가 동행한 결과 1년 동안 무려 한라산 높이의 194배에 이르는 1회용 컵을 절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지난 1년동안 다회용 컵 사용으로 절약한 1회용 컵은 270만개에 달하며 이는 높이 14㎝인 1회용 컵을 270만개 쌓으면 해발 1947m인 한라산 높이의 194배에 이른다고 27일 밝혔다. 다회용컵을 사용하지만 ‘에코제주 프로젝트’에는 동행하지 않은 업체까지 포함하면 더 많은 1회용 컵을 절약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에코제주 프로젝트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줄이기 위해 도내 카페에서 많이 사용되는 1회용 컵 대신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다회용 컵으로 교체하는 사업이다.

도는 1회용컵 대신 다회용 컵 사용을 권장하는 에코제주 프로젝트에 ‘아이 갓 에브리싱’(I got everything)도청카페와 도청 제2청사 내에 다회용 컵 무인 반납기를 설치했다.

카페 고객은 보증금 1000원을 내고 다회용 컵을 이용한 뒤 무인 반납기에 반납하면 컵은 회수되며, 보증금은 즉시 현금이나 포인트로 환급해 주는 시스템이다. 회수된 다회용 컵은 전용 세척장에서 7단계 공정을 거쳐 세척 한 후 다시 매장에 공급된다.

앞서 도는 지난해 6월 2일 환경부, 한국공항공사, 스타벅스, SK텔레콤, CJ대한통운, 행복커넥트와 함께 에코제주 프로젝트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협약에 따라 지난해 7월부터 도내 스타벅스 4개 매장에서 다회용 컵 사용 시범사업을 시작했고 12월부터는 도내 스타벅스 전 매장(23개소)으로 확대 운영되고 있다. 이번 도 청사 카페(I got everything)가 동참하면서 현재 도내 29곳으로 늘었다.

도는 다회용 컵 사용 확산과 이용객의 편의성 제고를 위해 올해 제주도청(2대), 제주시청(1대), 제주대학교(2대)에 총 5대의 다회용 컵 반납기를 추가 운영하고 있다. 현재 도내에 총 32대 반납기가 운영되고 있으며, 다회용 컵 반납률은 약 70%로 집계된다.

도 관계자는 “도는 에코제주 프로젝트에 더 많은 카페들이 참여하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8월 중순부터는 1회용 컵 없는 청정 우도를 만들기 위해 우도 내 카페에 다회용 컵 시스템을 시범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전국적으로 연 80억개의 1회용컵을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