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기자의 건강노트] 다시 흙으로

[심재억 기자의 건강노트] 다시 흙으로

입력 2010-08-30 00:00
수정 2010-08-3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골에서 살다 보면 흙발은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하다못해 텃밭 일도 손발에 흙 묻히는 일이니까요. 잘 삭아 굼벵이 꼼지락거리는 밭흙이건, 살오른 미꾸라지 탱탱하게 살아있는 차진 논흙이건 흙이 생명이라는 사실은 거기에 손발을 섞어 봐야 알 수 있습니다.

그도 저도 어렵다면 잘 다져 매끈한 흙마당에 맨발로 서 보세요. 흙이 주는 온화한 정감이 전신에 전율처럼 퍼질 테니까요. 농사철에는 흙 범벅인 손으로 열무김치며 감자, 고구마 까먹어대니 농촌의 삶이라는 게 흙발, 흙손으로 끝나는 게 아니고 아예 흙을 먹고 산다고 해도 틀린 말은 아닙니다.

그러던 사람들, 살 만하자 슬금슬금 흙을 피하기 시작했습니다. 손발에 흙 묻히고 사는 일은 무지렁이나 하는 일이 됐고, 고향 떠나는 사람들은 “흙 파먹기 싫어서….”라고 말하곤 했습니다.

그런 흙의 향수가 퉤퉤! 침 뱉으며 떠난 이들 가슴에서 되살아나고, 비천하다고 여겼던 흙의 웅숭한 철학이 다시 조명되는 것은 반가운 일입니다. 시골 땅값 오르는 것만 빼면요.

사실, 흙의 건강성은 우리보다 훨씬 잘 살고, 과학적이라는 유럽인들이 먼저 알았습니다. 그들은 틈만 나면 맨발로 흙을 딛고, 맨손으로 흙을 만집니다. 막 젖을 뗀 애들을 흙밭에서 뒹굴게도 하지요. 그러는 사이에 인체의 온갖 면역력이 작동해 허여멀건 도시 애들보다 훨씬 건강하고 정서적으로도 풍요롭게 자라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우리도 이젠 우리의 유전자가 지렁이처럼 살아있는 흙을 되돌아보는 게 어떨까요. 건강한 삶이란 스스로 바꾸지 않는 현실 위에 그냥 얹혀지는 게 아니라 뭔가를 덜어낸 빈 자리에 깃드는 것이니까요. 자, 건강한 삶을 위해 당신은 무엇을 비우겠습니까.



jeshim@seoul.co.kr
2010-08-30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