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웰스 박사 수술 집도 이상호 우리들병원 이사장
“꽤 된 얘긴데, 한번은 보건복지부 장관을 만났더니 대뜸 ‘요즘 그 병원을 찾는 외국인 환자가 얼마나 됩니까. 연간 50명쯤 되나요?’라고 묻더라고요. 이게 해외 환자 유치에 대한 인식입니다. 당시 우리 병원을 찾는 해외 환자가 연간 1000명이나 될 때였는데 말입니다.” 이상호 박사는 이런 일화를 소개하며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인식과 지원이 절실하다.”고 토로했다.
최근 들어 각급 병·의원들이 앞다퉈 해외 환자 유치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우리의 의술에 대한 인식이 달라진 영향이 크다. 외국 환자들이 대부분 중국이나 동남아 등 의료 후진국 환자들일 것이라고 단정하는 건 섣부르다. 이 박사는 “우리 병원의 경우 지난해 모두 1261명의 외국인 환자가 찾았는데, 여기에는 미국인(303명)·일본인(97명)·캐나다인(84명)·프랑스인(35명)·영국인(11명)이 포함돼 있다.”면서 “개별 국가별로는 중국(376명)과 러시아(107명)도 많지만 최근 들어 환자의 다국적화가 두드러지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처럼 외국인 환자가 다국적화하면서 병원 수입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비중도 커지고 있다. 이 박사는 “병원의 매출 현황을 밝힌다는 게 민감한 문제이긴 하지만, 지난해 우리 병원의 외국인 환자 총매출액은 28억 2962만원으로 전년도의 19억 732만원에 비해 48.4%나 늘었다.”고 밝히고 “세부적으로는 외래 매출 5억 3318만원과 입원 매출 22억 9643만원 등인데, 이를 보더라도 이제는 외국인 환자 유치 문제가 단순한 이벤트 이상의 국부 창출 수단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런 점에서는 로버트 웰스 박사의 사례가 시사하는 점이 크다는 이 박사는 “영국의 전문의가 치료를 위해 한 번도 아니고 벌써 세 번이나 우리나라를 찾은 현실을 단순한 의료관광으로 보기보다 이제는 의료선진국의 환자들까지도 우리의 의료에 주목하고 있다는 차원에서 해석할 필요가 있다.”면서 의료기관은 물론 정책 당국의 효율적인 대책을 주문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1-09-19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thumbnail - “퀄리티 미쳤다” 전국서 우르르…김밥 하나로 대박난 ‘13만 소도시’ [포착]](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10/26/SSC_20251026132141_N2.png.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