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끽연 권하던 어제 흡연 말리는 오늘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끽연 권하던 어제 흡연 말리는 오늘

입력 2013-09-16 00:00
수정 2013-09-1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가지런히 말아 갑 속에 포개 넣은 궐련은 귀했지만 담배야 지천에 널려 있었다. 집집마다 잘 다듬어 묶은 엽연초가 걸려 노랗게 건조되고 있었고, 부엌 나무청에는 바싹 마른 담뱃대가 쌓여 아궁이에서 지펴지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들녘 담배밭에는 키자란 담배나무가 골을 이뤄 큼지막한 잎을 드리운 채 햇볕에 익어가고 있었는데, 그 잎이 다 자라 독한 담배진이 두텁하게 차면 떼어내 말려 공매에 넘기곤 했다.

군에 입대한 삼촌의 휴가 선물도 화랑담배였다. 그 시절, ‘쫄따구’ 휴가병이 내밀 선물이라고는 그것 말고 다른 게 있을 수 없었다. 입대 전에는 담배를 피우지 않았던 삼촌이 골목 어귀에서 친구들과 어울려 담배를 피우던 모습은 생소했지만 ‘나도 어른이 됐다’는 시그널로 다가왔다. 그 때 바람결을 타고와 뇌리에 각인된 야릇한 담배 향기는 흔히 일탈이라고 부르는 끽연의 초다짐 같은 것이었다. 그렇게 담배와 친숙해져 솜털도 가시지 않은 아이들이 어른 흉내 낸답시고 쓰디쓴 잎담배를 말아 빨다가 캑캑거리곤 했는데, 콜럼버스 이전의 아메리카의 인디언 아이들도 아마 그렇게 자랐을 것이다.

그 담배가 문제다. 나라는 담배산업을 전매사업으로 지정해 돈을 벌었다. 가난한 나라였으니 도리가 없었을 것이다. 장정들이 군에 가서 담배를 배운 것도 그렇다. 혈기 방장한 젊은이들을 병영에 모아놨으니 담배라도 줘서 다른 생각 못 하게 달래야 했고, 물정 모르는 ‘군바리’들은 거저 주는 담배를 하릴없이 빨아대다가 골초가 됐다. 그 담배가 폐암 등 많은 암의 원인이라니, 그래서 끊어야 한다니 그 시절에 담배를 배웠던 사람들은 얼마나 황당하겠는가. 의학적으로 보면 금연 권고가 늦어도 한참 늦었지만, 나라가 나서 ‘흡연을 권했던’ 그 기억의 한편에는 나라 때문에 폐암에 걸린 불행한 세대가 열을 지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어쩌라는 것이냐고 반문하는 것은 국가의 무책임일 뿐이다. 그러니 지금이라도 그들의 고통을 덜 방책을 마련하는 게 옳고, 그 일을 국가가 주도해야 한다. 그것이 나라가 국민에게 갖출 예의 아니겠는가.

jeshim@seoul.co.kr



2013-09-16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