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 간이식팀(팀장 이승규 교수)은 최근 몽골에서 간경화로 생명을 잃을 위기에 처한 다섯 살의 몽골 아이에게 어머니의 간 일부를 떼어 붙이는 생체간이식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7일 밝혔다.
이승규 교수팀은 지난 22일 몽골 울란바토르에 있는 몽골 국립제1병원에서 이 수술을 진행했고, 간이식을 받은 델게르세한이라는 몽골 아이는 수술 후 5일이 지난 현재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델게르세한은 2009년 11월 태어날 때부터 담즙이 장으로 배출되지 않아 간을 망가뜨리는 선천성 담도폐쇄증을 앓고 있었다. 이 때문에 그해 12월 없어진 담도를 대신해 새로운 담도를 만들어주는 이른바 ‘카사이(Kasai)’ 수술을 받았지만 치료 경과가 좋지 않았다. 결국 지난해 3월부터는 간문맥고혈압 등이 나타났고, 간경화로 발전해 간이식만이 유일한 치료방법이었다.
이번 간이식 수술은 2011년부터 시작된 서울아산병원의 ‘간이식술기 몽골 전수 프로젝트’에 따라 이뤄졌고, 서울아산병원의 몽골 현지 12번째 생체간이식이자 현지 최초의 소아 생체간이식이었다.
서울아산병원 간이식팀은 1994년 12월 생후 9개월이던 여자 아이에게 아버지의 간 일부를 떼어붙이는 소아 생체간이식수술을 국내 최초로 시행했다. 이승규 교수를 필두로 한 이 병원 간이식팀은 현재 3480사례에 걸친 세계 최다 생체간이식 수술 성공에다 96%라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간이식 생존율을 기록하는 등 세계 생체간이식 수술을 이끌고 있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이승규 교수팀은 지난 22일 몽골 울란바토르에 있는 몽골 국립제1병원에서 이 수술을 진행했고, 간이식을 받은 델게르세한이라는 몽골 아이는 수술 후 5일이 지난 현재 빠른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델게르세한은 2009년 11월 태어날 때부터 담즙이 장으로 배출되지 않아 간을 망가뜨리는 선천성 담도폐쇄증을 앓고 있었다. 이 때문에 그해 12월 없어진 담도를 대신해 새로운 담도를 만들어주는 이른바 ‘카사이(Kasai)’ 수술을 받았지만 치료 경과가 좋지 않았다. 결국 지난해 3월부터는 간문맥고혈압 등이 나타났고, 간경화로 발전해 간이식만이 유일한 치료방법이었다.
이번 간이식 수술은 2011년부터 시작된 서울아산병원의 ‘간이식술기 몽골 전수 프로젝트’에 따라 이뤄졌고, 서울아산병원의 몽골 현지 12번째 생체간이식이자 현지 최초의 소아 생체간이식이었다.
서울아산병원 간이식팀은 1994년 12월 생후 9개월이던 여자 아이에게 아버지의 간 일부를 떼어붙이는 소아 생체간이식수술을 국내 최초로 시행했다. 이승규 교수를 필두로 한 이 병원 간이식팀은 현재 3480사례에 걸친 세계 최다 생체간이식 수술 성공에다 96%라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간이식 생존율을 기록하는 등 세계 생체간이식 수술을 이끌고 있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