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에만 식중독?…“천만에…1년내내 조심해야”

여름에만 식중독?…“천만에…1년내내 조심해야”

입력 2016-08-24 10:16
수정 2016-08-24 1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름에만 식중독이 발생한다고 생각하면, 학교나 직장보다 병원을 더 자주 가는 쓰라린 아픔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국민의 식탁안전을 책임지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웹진 ‘열린마루’(8월호)에서 식중독 예방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한 말이다. 개학하자마자 학교에서 단체급식을 먹은 학생들이 식중독에 걸리는 사고가 잇따르면서 보건당국에 비상이 걸렸지만, 실제로 식중독은 여름철만의 불청객은 아니다.

여름에 식중독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한여름에만 식중독이 찾아오는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이런 사실은 식중독 통계자료로도 확인할 수 있다.

24일 식약처의 ‘최근 5년(2011~2015년)간 평균 식중독 발생 건수와 환자수 현황’ 자료를 보면, 6월 30.6건(660.2명), 7월 27.2건(532.4명), 8월 31건(1천127명) 등으로 여름철에 다른 계절보다 식중독이 많이 발생하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여름철에는 못 미치지만 12월 26.8건(424.2명), 1월 17.4건(219명), 2월 13.2건(204.4명) 등 겨울철에도 식중독의 기세는 만만찮다. 집단식중독을 일으키는 주범 중 하나인 노로바이러스가 왕성하게 활동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봄철과 가을철이라고 해서 안심할 수도 없다.

3월 19.6건(557.6명), 4월 23.8건(576.6명), 5월 25.8건(798명) 등으로 봄에도 식중독은 여전하며, 가을철이 되더라도 9월 27.2건(664.6명), 10월 21.2건(216명), 11월 22건(333.6명) 등으로 여전히 주의해야 할 수준이다.

올해 들어서도 식중독 사고는 8월 20일 현재까지 총 229건(3천712명)이 발생했는데, 이를 월별로 보면, 1월 15건(114명), 2월 9건(51명), 3월 25건(363명), 4월 40건(561명), 5월 43건(749명), 6월 35건(685명), 7월 24건(289명), 8월 38건(900명 추정) 등이다.

매달 끊임없이 식중독 사고가 터지는 것이다.

식약처는 결과적으로 식중독 예방은 “1년 내내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강조했다.

특히 개인위생관리 차원에서 안전한 식습관을 들이는 게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식약처는 식사 전에 30초 이상 세정제(비누 등)를 사용해 손가락, 손등까지 깨끗이 손을 씻고 흐르는 물로 헹구며, 음식물은 속까지 충분히 익혀 먹어야 하고, 물은 반드시 끓여서 마셔야 한다는 점을 가장 기본적인 식중독 예방 기본요령으로 제시했다.

아울러 일상 습관으로 예방할 수 있는 식중독 방지책으로 변질 의심 식품은 사용하지 말고, 필요한 만큼만 조리하며, 주방용품은 깨끗하게 세척·소독하고, 채소류·육류·어패류를 다듬는 칼과 도마를 구분해서 사용하도록 조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