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난 폭음 대학생… 한자리서 10잔 이상 38%

늘어난 폭음 대학생… 한자리서 10잔 이상 38%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8-02-19 23:10
수정 2018-02-20 02: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성인 남녀보다 ‘고위험 음주율’…여대생 음주 습관 모니터링 시급

술자리에서 폭음하는 대학생이 해마다 늘고 있다. 음주 빈도는 줄었지만 한자리에서 너무 많은 술을 먹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여자 대학생의 위험 음주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어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은 전국 82개 대학 및 전문대 소속 학생 5024명을 대상으로 연세대 보건정책 및 관리연구소가 실시한 ‘우리나라 대학생의 음주행태 심층조사’에서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조사 결과 남녀 대학생의 ‘1회 음주량’과 ‘고위험 음주율’은 모두 성인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한자리에서 10잔 이상을 마셨다는 남자 대학생은 44.1%에 이르렀다. 이는 19~29세 남성(32.5%), 전체 성인 남성(21.9%)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여자 대학생이 10잔 이상 마시는 비율은 32.8%로 19~29세 여성(17.5%)의 2배에 가깝고 전체 성인 여성(6.2%)의 5배 수준이었다.

한 번의 술자리에서 10잔 이상 마시는 대학생 비율은 2009년 26.0%에서 지난해 38.4%로 12.4% 포인트나 늘었다. 한번에 7잔 이상을 주 2회 이상 마시는 고위험 음주율도 남녀 대학생이 각각 23.3%, 17.2%로 남녀 성인 전체 평균인 21.2%, 5.4%를 크게 추월했다.

문제는 술자리 빈도보다 한번에 마시는 술의 양이다. 대학생은 스스로 위험음주를 인식하지 못해 한자리에서 폭음하는 경향이 많다. 지난해 대학생들에게 ‘적당 음주량’을 물어본 결과 남자는 7잔 이상이 63%, 여자는 5잔 이상이 60%로 절반 이상이 고위험 음주 기준을 넘었다.

폭음에 관대한 대학문화는 유독 우리나라에서 뿌리 깊다. 삼육대 연구팀이 2011년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폭음(2시간 이내 남자 5잔, 여자 4잔)을 안전하다고 여기는 대학생 비율은 미국과 비교해 남자가 4.06배, 여자는 3.96배였다.

박은철 보건정책 및 관리연구소장은 “특히 좋지 않은 음주 습관에 노출되기 쉬운 여대생 집단에 대해 집중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시급하다” 고 말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8-02-2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