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관 달콤 팝콘·콜라 세트는 ‘당 덩어리’

영화관 달콤 팝콘·콜라 세트는 ‘당 덩어리’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18-10-17 23:46
수정 2018-10-18 01: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식약처 분석… 하루 1인 섭취 기준 넘어

면류 나트륨, 우동>라면>칼국수 順

시중에서 가장 많이 판매되는 라면인 신라면의 봉지당 나트륨 함량이 1790㎎으로 1일 나트륨 섭취 기준(2000㎎)의 90%나 됐다. 영화관에서 판매하는 달콤한 맛 팝콘(대)과 콜라(대) 세트에는 131~145g의 당이 함유돼 있었다. 혼자 먹으면 하루 당 섭취 기준(100g) 기준을 훌쩍 넘겨 섭취하게 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민영양 안전관리’ 사업의 하나로 사람들이 많이 먹는 면류와 음료류, 영화관 팝콘에 대해 당·나트륨 함량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17일 밝혔다. 조사대상은 판매순대로 면류는 라면 20개, 우동 10개, 칼국수 10개, 음료는 과일·채소음료와 탄산음료, 커피, 발효유류를 각 20개씩 선정했다. 영화관 팝콘은 CGV와 롯데시네마, 메가박스에서 판매되는 대(大) 크기의 팝콘 54개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면류에서는 우동의 평균 나트륨 함량이 1724㎎(한 봉지당)으로 가장 높았다. 라면(유탕면) 1586㎎, 칼국수 1573㎎으로 나타났다. 국물이 있는 라면(1693㎎)은 그렇지 않은 라면(1160㎎)보다 훨씬 높은 나트륨 함량을 보였다.

음료는 100㎖당 탄산음료 10.9g, 과·채음료 9.7g, 발효유류 9.7g, 커피 7.3g 등으로 나타났다. 전국 6개 지역(서울, 인천, 대전, 광주, 대구, 부산)의 영화관 팝콘은 맛별로 나트륨 함량에서 큰 차이가 났다. 시즈닝(어니언, 갈릭 등)이 949㎎으로 가장 많았고 일반 504㎎, 달콤 174㎎으로 나타났다. 당은 달콤이 56.7g으로 가장 많았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2018-10-18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