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단계 재연장했지만 주말 최다 확진… 위중환자 23% 급증

4단계 재연장했지만 주말 최다 확진… 위중환자 23% 급증

이범수 기자
이범수 기자
입력 2021-08-08 20:58
수정 2021-08-09 03: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60세 이상 고위험군 감염 늘어 비상

작년 2월 이후 비수도권 첫 700명대 확진
고령층 하루 평균 182명, 1주새 24명 늘어
중대본 “유행 지속 땐 의료시스템도 위태”
전문가 “백신접종 속도전이 유일 해결책”
폐쇄 앞둔 해운대
폐쇄 앞둔 해운대 일본을 향해 북상 중인 제9호 태풍 ‘루핏’ 영향으로 8일 부산 해운대 앞바다 하늘에 먹구름이 가득 끼어 있다. 10일부터 부산에도 4단계 거리두기가 시행됨에 따라 해운대 등 시내 해수욕장 7곳은 모두 폐쇄된다.
부산 연합뉴스
코로나19 4차 유행이 부산 등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거세지며 신규 확진자가 또다시 주말 최다를 기록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수도권 4단계·비수도권 3단계)를 2주간 재연장하며 확산세 차단에 부심하고 있지만 뚜렷한 효과가 없어 방역당국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거리두기 연장이 현재 확산세를 억제하는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에 접종 속도를 높이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지적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8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1729명이라고 밝혔다. 주말 기준으로 가장 많은 수치다. 직전의 주말 최다 기록은 지난달 25일 0시 기준 1487명이었다. 특히 비수도권 확진자는 총 703명(42.7%)으로 지난해 2월 29일 대구·경북 중심의 1차 대유행 당시 885명 이후 처음으로 700명대를 기록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대전과 충청, 부산과 경남, 제주 등은 유행이 계속 확산되는 중이고 (확산세가 꺾인 수도권도) 재유행의 위험이 있다”고 밝혔다.

특히 고위험군인 60세 이상 고령층의 확진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최근 1주간(1~7일) 일일 평균 60세 이상 국내 발생 확진자 수는 181.7명으로 그 전 주간(7월 25~31일)의 158.1명에 비해 23.6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위중증 환자 역시 상승 추세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지난주에 하루 평균 위중증 환자는 347명으로 그 직전 주의 280명보다 23.9% 늘었다. 손 반장은 “지금보다 유행이 커지면 적절한 의료 제공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정부는 일단 현행 거리두기 단계 및 사적 모임 제한 조처를 오는 22일까지 2주 더 연장했고, 비수도권의 일부 조처는 추가로 강화했다. 4단계에서는 4명까지는 모일 수 있고, 오후 6시 이후에는 모임 인원이 2명으로 제한된다. 3단계인 비수도권에서는 시간에 상관없이 사적 모임이 4명까지 가능하다. 다만 비수도권의 경우 기존에 직계가족 모임은 인원과 상관없이 가능했지만 이제부터는 예외적용 없이 사적 모임 기준을 그대로 적용한다.

문제는 거리두기 연장의 효과다. 수도권·비수도권은 각각 지난달 12일, 27일부터 길게는 한 달 가까이 거리두기를 적용 중이지만 여전히 뚜렷한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8월 말 개학을 앞두고 유행을 감소세로 반전시킨다는 목표를 세웠지만 ▲여름 휴가철 ▲광복절 황금연휴 ▲델타 변이 확산 등이 향후 변수로 꼽힌다. 이기일 중대본 1통제관은 “(수도권의 경우) 하루 평균 확진자가 800명대로 떨어지면 단계 조정도 가능할 것”이라며 희망 섞인 전망도 내놨지만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 역시 적지 않다.

강릉 오봉저수지 15% 붕괴 임박, 위기 치닫는 물 부족 사태

2025년 여름, 대한민국은 폭우로 물에 잠긴 도시들과 바싹 메마른 땅으로 갈라졌다. 수도권과 충청 지역에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지는 동안, 강원도 강릉 지역은 사상 최악의 가뭄에 직면한 것이다. 강릉의 최대 수원(水源)인 오봉저수지가 바닥을 드러냈고, 위기 상황으로 여겨지는 저수율 15%선 붕괴를 코앞에 둔 상황이다. 이대로 비가 오지 않으면 20일 뒤 강릉시민들은 생활용수를 거의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가뭄이 장기화되면서 한 방울의 물이라도 아끼기 위한 노력이 도시 곳곳에서 이어지고 있다. 평상시 수돗물이 공급되는 소화전 사용을 줄이기 위해 소방서 앞마당에는 지름 6미터의 임시저수조가 설치됐다. 일선 병원들도 필수 의료 시설을 제외한 나머지 시설에 대한 절수 조치를 실시했다. 강릉아산병원 시설팀 관계자는 “환자의 치료 구역에 영향을 주지 않는 선에서 주방 설비의 급수량을 40% 줄이고 고가수조의 저수량을 7~10% 낮췄다”고 밝혔다. 새 학기가 시작된 강릉 지역 일선 학교들도 물 절약에 동참하고 있다. 정수기 사용을 막고 생수를 공급하는 한편, 급식 식판은 원주에 있는 세척 업체에 보내는 방식으로 물 사용량을 줄이기도 했다. 사실상 재난 상황으로 치닫
thumbnail - 강릉 오봉저수지 15% 붕괴 임박, 위기 치닫는 물 부족 사태

정재훈 가천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델타 변이의 전파력이 강력하다 보니 거리두기가 (현재의 확산세를) 감소세로 전환시킬 정도의 효과는 없고 급증을 억제하는 정도”라면서 “이렇게 시간을 버는 사이에 코로나19 백신 접종률을 빠르게 올리는 게 유일한 해결책이고, 얼마나 빠르게 추가접종까지 이어지느냐가 중요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2021-08-09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