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이나 생활치료센터가 아닌 집에서 코로나19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재택치료 방안을 철저히 준비할 것이라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밝혔다.
이기일 중대본 제1통제관(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10일 브리핑에서 “단계적인 일상 회복으로 가는 길목에서 반드시 거쳐야 할 관문이 바로 재택치료”라고 말했다. “앞으로 다른 시도에서도 재택치료가 시행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가겠다”며 재택치료 확대 방침을 밝혔다.
현재 방역당국은 임상 위험도를 고려해 무증상·경증이면서 소아 고위험군이 아닌 만 12세 이하 아동 확진자나 돌봄이 필요한 자녀가 있는 성인 확진자를 대상으로 재택 형태의 자가 치료를 제한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홈케어 운영단’을 두고 있는 경기도는 예외적으로 성인 1인 가구에도 이를 허용 중이며, 강원 지역은 최근 전담팀을 꾸려 재택 치료를 확대하는 중이다.
중대본에 따르면 작년 말부터 소아 확진자 및 보호자 등 약 3000명이 재택 상태로 치료받았다. 이 통제관은 “어제 수도권과 강원 지역 신규 확진자 가운데 자가에서 치료 중인 환자는 총 62명이며 지역별로는 서울이 15명, 경기가 44명, 인천이 1명, 강원도가 2명 등”이라고 설명했다.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