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변론 위해 뛰는 김예원·고지운·염형국씨
잇따른 비위 사건으로 법조인들에 대한 사회적 불신이 깊어지고 있지만 꿋꿋이 공익변론활동을 이어 가며 주위에 따뜻함을 전하는 변호사들이 있다. 서울지방변호사회가 운영하는 공동법률사무소인 ‘다사랑’에 둥지를 튼 김예원(35·사법연수원 41기), 고지운(39·변호사시험 1회), 염형국(44·연수원 33기) 변호사가 그들이다. ‘3인방’은 각자 장애인·국내 이주민·프로보노(전문가들의 공익활동) 지원에 중점을 두고 새해에도 바쁜 활동을 이어 가고 있다.

김예원 변호사


고지운 변호사


염형국 변호사
김 변호사는 “장애인을 차별하는 사람들의 행위가 너무 거리낌 없는 경우가 많고 장애인들은 차별을 너무 일상적으로 받아들이기도 한다”며 “이를 위해 거창하게 무엇을 바꾼다기보다는 한 사람, 한 사람의 문제를 함께 해결해 나가는 것이 정의의 실현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고 변호사는 이주민 지원센터 ‘감사와 동행’을 이끌고 있다. 로스쿨을 졸업한 뒤 2012년 6월쯤 우연히 봉사활동으로 이주민 관련 사건을 맡았다가 이 길로 접어들었다. 비닐하우스에서 숙식하다 성폭행을 당한 여성 이주노동자 사건, 사장의 권유로 휴가를 갔다가 무단결근 신고가 접수된 사건 등 한 달에 10~15건씩이 접수되고 있다.
고 변호사는 “처음에는 가족이나 지인들도 ‘다시 잘 생각해 보라’며 만류했었다”며 “그럼에도 이 일을 할 때 너무 행복하다”고 강조했다.
‘1호 공익 변호사’로 14년째 활동 중인 염 변호사는 프로보노 지원센터를 꾸려 후배들의 공익변론을 돕고 있다. 변호사와 공익단체를 연결해 주거나 관련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의 활동이 주된 업무다.
염 변호사는 “법조계 경쟁이 치열해지고 전관 비리도 많이 노출돼 법조인들을 보는 시선이 다소 부정적으로 변했다”며 “사회가 기대하는 역할을 좀더 충실히 하면 변호사들에 대한 신뢰도 회복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7-01-3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