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이웃행성인 화성이 지금껏 알려진 것보다 생명체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갖췄다는 주장이 나왔다. 당장 인간이 이주해 살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지구의 미생물 정도는 화성에서 생존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호주국립대의 연구팀은 최근 ‘우주생물학’ 저널에 실은 연구 보고서를 통해 “화성 표면 밑의 광범위한 지형이 미생물 등 지구의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수준의 물과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연구를 이끈 우주생물학자 찰리 라인위버 박사는 13일(현지시간) “화성 전체 용적 중 3%가량이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온도와 압력을 띠고 있었다.”고 밝혔다고 미국 인터넷 매체 허핑턴포스트가 보도했다.
연구팀은 화성의 서식 환경을 분석하기 위해 ‘온도-기압 상태도’(상도)를 이용했다고 밝혔다. 상도는 온도와 압력의 변화에 따라 물질이 기체, 액체, 고체로 변하는 단계를 표시한 것인데 특정 온도와 압력에서 생명체가 살 수 있는지 알아보는 도구로 쓰인다.
라인위버 박사는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가 인간이 화성에서 살 수 있다는 것을 말해 주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우선 화성의 생명체 거주 적합 지역이 표면 아래에 한정돼 있기 때문이다. 화성의 지표 기압은 0.006기압(지구의 0.75%)으로 낮은 탓에 온도와 관계없이 물분자가 끓어버린다.
이 때문에 액체상태의 물은 존재하기 어렵다. 또 미생물은 인간보다 악조건에서 생존할 수 있어 미생물이 살 수 있는 모든 곳에 인간이 살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라인위버 교수는 “화성의 미생물 관련 정보를 알게 되면 화성의 나이를 밝히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