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진주 땅밑 300m 이하에서 1억 1000만 년 전 미생물 발견

대구·진주 땅밑 300m 이하에서 1억 1000만 년 전 미생물 발견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2-03-17 12:00
수정 2022-03-17 12: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진주 지하 338m, 678m 지점에서 국내 미확인 미생물 발견
노보스핑고비움은 석유 분해능력있어 환경정화에 활용 기대

대구, 진주 땅 속에서 발견된 신종 미생물
대구, 진주 땅 속에서 발견된 신종 미생물 노보스핑고비움(위)과 더마코커스(아래)의 고체배양(좌),투과(중간) 및 주사(우) 전자현미경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국내 연구진이 대구와 경남 진주의 땅 밑 300m 이하에서 1억 1000만 년 전에 살았던 미생물을 찾아냈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공동연구팀은 지하 300m 밑 퇴적암층에서 미생물 생존을 확인하고 분리·배양에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지하 깊은 곳이라는 특수 환경에서 사는 미생물 발굴은 시료 확보가 어렵고, 배양 역시 쉽지 않다. 그런 상황에서 연구팀은 경남 진주시에 있는 진주층과 대구 소재 대구층을 750m 밑까지 채굴해 빛, 물, 산소가 없는 극한 환경에서 살고 있는 미생물을 찾아 나섰다. 약 1억 1000만 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퇴적암층에서 시료를 채취해 마이크로옴 군집 분석을 통해 미생물 933종을 확인했고 11종을 배양했다.

이번에 발견된 균주 11종 중에서 진주층 338m 지점 시료에서 분리한 ‘노보스핑고비움 아로마티시보란스’와 678m 지점 시료에서 분리한 ‘더마코커스 프로펀디’는 국내에서는 한 번도 발견되지 않았던 미기록종으로 확인됐다. 특히 노보스핑고비움은 미국 동부 대서양 연안 해저에서, 더마코커스는 태평양 북마리아나 제도 부근 평균 수심 7000~8000m로 지구상 가장 깊은 해구로 알려진 마리아나 해구 심층 진흙에서 분리됐던 것으로 특수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것들로 알려져 있다.

이 가운데 노보스핑고비움은 난분해성 환경오염 물질인 다환방향족 탄화수소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로 알려져 있어 환경정화 생물제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박진영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은 “공동연구를 통해 탐사가 쉽지 않은 지층 시료에서 미생물자원을 발굴했다”며 “추가 연구를 통해 앞으로도 미지의 영역에서 자생생물종 확보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