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계 올림픽서 첫 출발… 스케이트 날 부위 따라 토·에지 점프 구분

하계 올림픽서 첫 출발… 스케이트 날 부위 따라 토·에지 점프 구분

최병규 기자
입력 2022-01-20 20:30
수정 2022-01-21 01: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알면 더 재미있는 종목] 피겨스케이팅

사교 레저에서 스포츠로 탈바꿈
제1회 동계올림픽서 무대 바뀌어
싱글·페어 종목에 댄스·단체 추가
회전수·완성도 따라 가감점 부여
유영 AP 연합뉴스
유영
AP 연합뉴스
‘동계올림픽의 꽃’으로 불리는 피겨스케이팅은 다른 어떤 종목보다 올림픽 역사가 긴 종목이다.

당초엔 하계올림픽 종목이었지만 1924년 제1회 동계올림픽이 프랑스 샤모니에서 열리면서 무대를 바꿨다. 1920년 안트베르펜(벨기에)하계올림픽에서 첫 금메달을 딴 것을 시작으로 올림픽 피겨 역사상 유일하게 남자 싱글 3연패를 기록한 일리스 그라프스트룀(스웨덴)은 하계·동계올림픽을 잇달아 제패한 유일한 선수로 남아 있다.

사교 목적의 레저 활동이었던 피겨는 1742년 스코틀랜드의 에든버러 스케이팅 클럽이 만들어지면서 스포츠가 됐다. 처음엔 일정한 형태의 도형대로 얼음을 탈 수 있느냐가 중요했지만 20세기 후반엔 점프 등으로 기량을 겨루기 시작했다.

올림픽 피겨스케이팅은 총 4개 종목으로 치러진다. 1972년 삿포로 대회까지 남녀 싱글과 페어뿐이었는데, 1976년 인스브루크 대회에서 아이스댄스가 추가됐다. 2014년 소치부터 단체전이 추가됐다.

남녀 싱글은 쇼트프로그램과 프리스케이팅으로 나뉘는데 각각 2분 40초(±10초), 4분(±10초) 이내에 연기를 펼쳐야 한다. 쇼트는 점프 3개와 스핀 3개, 스텝 1개의 과제가 필수다. 또 점프 3개에는 점프 2개를 붙이는 콤비네이션 점프와 반 바퀴를 더 돌아야 하는 악셀 점프가 포함돼야 한다. 프리는 점프 7개와 스핀 3개, 스텝 1개, 코레오그래픽 시퀀스 1개를 반드시 연기해야 한다.

순위를 가르는 가장 중요한 기술은 점프다. 크게 스케이트 날 앞부분 톱니 모양의 ‘토’(toe)를 얼음에 찍고 도약하는 ‘토 점프’(토루프·러츠·플립)와 날의 양면을 활용해 도약하는 ‘에지 점프’(악셀, 루프, 살코)로 나뉜다.



점프는 회전수에 따라 기본 배점이 정해져 있고, 완성도에 따라 심판진이 감점하거나 수행점수(GOE)를 더한다. 연기 요소 점수와 GOE를 합해 기술점수(TES)가 되고, 스케이팅 기술과 안무를 비롯해 5가지 세부 요소를 채점한 예술점수(PCS)를 합하면 ‘키스 앤드 크라이 존’에서 선수들이 받아 드는 총점이 된다.
2022-01-21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