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첫 ‘엘롯기’ 가을야구 기대감에 KBO 흥행도 들썩 들썩

사상 첫 ‘엘롯기’ 가을야구 기대감에 KBO 흥행도 들썩 들썩

박성국 기자
박성국 기자
입력 2025-05-20 17:17
수정 2025-05-20 17: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화·롯데, 1위 LG 맹추격
김도영 돌아온 KIA 반등
역대 최소경기 400만 돌파

여름 폭염에 앞서 벌써 아련한 가을의 향수를 떠올리는 이들이 있다. 프로야구 한화 이글스와 롯데 자이언츠를 지역 연고로 둔 대전과 부산의 야구팬들이다. 2025 KBO리그는 한화와 롯데의 초반 돌풍과 더불어 단독 1위 LG 트윈스의 안정적인 경기 운영과 ‘디팬딩 챔프’ KIA 타이거즈의 반등까지 더해지며 사상 최다 관중 동원을 예고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승리의 기쁨
승리의 기쁨 7일 부산 사직야구장에서 열린 프로야구 2025 신한 SOL 뱅크 KBO리그 SSG 샌더스와 롯데 자이언츠의 경기. SSG를 6대2로 누르고 승리한 롯데 선수들이 기쁨을 나누고 있다. 2025.5.7 부산 연합뉴스


야구팬의 관심사는 전통의 인기 구단이자 2000년대 암흑기를 보낸 ‘엘롯기’(LG·롯데·KIA) 동맹의 가을야구 동반 진출 여부다. 1982년 프로야구 출범 이후 세 팀이 함께 포스트 시즌을 치른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LG와 롯데, KIA의 전신인 해태는 1990년대 흥행을 주도했지만, 롯데는 2001년부터 2004년까지 4시즌 연속 최하위로 정규시즌을 마감했고 LG는 2006년과 2008년 두 차례 꼴찌를 기록했다. 2005년과 2007년 리그 밑바닥은 KIA의 자리였다. 한화 포함 네 팀 가운데 3팀이 함께 가을야구를 한 건 1994년이 마지막이었다.

이 가운데 롯데는 올 시즌 확연히 달라진 경기력으로 8년 만의 가을야구 기대감을 더하고 있다. 롯데는 정규 3위를 기록한 2017시즌을 끝으로 가을잔치를 TV로만 지켜봐야 했다. 지난 시즌을 7위로 마감한 롯데는 19일 기준 단독 1위 LG에 2경기 뒤진 공동 2위를 달리고 있다. 부동의 1선발이었던 찰리 반즈와 결별 등 마운드 운영 난조에도 리그 1위의 공격력(팀 타율 1위·0.285)을 앞세워 선두 탈환을 노린다.

시즌 개막과 동시에 줄곧 1위 자리를 지켜온 LG는 이달 초 주춤하며 연승을 내달린 한화에 자리를 내주기도 했지만, 지난 14일 선두를 재탈환한 뒤 순항하고 있다. 최근 10경기 7승 3패로 팀 타율 3위(0.266), 팀 평균자책점 2위(3.26), 리그 최소 실책(20개) 등 안정적인 타격과 마운드에 그물망 수비 삼박자를 갖췄다.

시즌 초반 김도영, 김선빈, 박찬호 등 팀 주축 선수들이 부상으로 이탈하며 리그 최하위까지 떨어졌던 KIA는 지난달 26일 김도영의 선발 복귀 이후 타선 활약이 유기적으로 맞물리며 공동 4위(SSG랜더스)까지 반등했다.

이미지 확대
김도영, 만원관중 속 타격
김도영, 만원관중 속 타격 27일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에서 열린 프로야구 LG 트윈스와 KIA 타이거즈의 경기. KIA 김도영이 5회말에 타격하고 있다. 2025.4.27 광주 연합뉴스


2018년 정규 3위로 가을야구에 진출했다가 넥센 히어로즈(현 키움)와의 준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한 뒤 가을을 잊은 한화는 2020~22시즌 세 차례 연속 정규 꼴찌의 불명예를 딛고 가을의 전설을 쓸 준비를 하고 있다.

올 시즌 KBO리그는 네 팀의 동반 선전에 힘입어 지난 18일 역대 최소 230경기에 400만 관중을 돌파했다. 2년 연속 1000만 관중을 넘어 역대 한 시즌 최다 관중을 경신할 분위기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