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 kt 김선형이 27일 수원 케이티아레나에서 열린 2025 프로농구 시범경기 안양 정관장과의 홈 경기에서 드리블하고 있다. KBL 제공
달려야 이긴다. 프로농구 새 시즌 화두는 단연 속공이다. ‘디펜딩 챔피언’ 창원 LG가 국가대표 가드 양준석을 필두로 빠른 농구를 다짐한 가운데 ‘슈퍼팀’ 부산 KCC는 우승의 열쇠를 주장 최준용에게 맡겼다. 다크호스는 ‘플래시 썬’ 김선형을 데려온 수원 kt다.
조상현 LG 감독은 29일 서울 용산구 블루스퀘어에서 열린 2025~26 프로농구 개막 미디어데이에서 지난 정규 시즌에서 경기당 평균 속공 최하위(3개)였던 체질을 개선하겠다고 강조했다. 프로농구는 3일 창원체육관에서 LG와 서울 SK의 챔피언결정전 리턴 매치로 7개월 대장정의 막을 연다.
조 감독은 “지공과 속공의 조화가 중요하다. 압박 수비로 상대 실책을 유도한 다음 칼 타마요 등 포워드들이 양준석과 함께 뛰어줘야 평균 속공을 4개 이상으로 올리면서 80득점 이상 기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양준석도 “지난 시즌 지공 의존도가 워낙 높아 공격에 한계가 드러났다. 동료들과 소통하며 속공에 재미를 붙일 것”이라고 거들었다.
10개 구단은 시즌 초부터 공격 시 일단 달릴 것으로 보인다. 한국농구연맹(KBL)이 지난 16일 심판설명회에서 평균 76.8점까지 떨어진 득점력을 회복한다는 명분으로 속공을 무리하게 끊으면 단호하게 비신사적 반칙(U파울)을 선언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U파울을 받으면 상대에게 자유투 2개와 공격권을 넘겨줘 한 번에 5실점까지 할 수 있다.

부산 KCC 최준용이 21일 창원체육관에서 열린 2025 프로농구 시범경기 창원 LG와의 원정 경기에서 득점한 뒤 세레머니하고 있다. KBL 제공

창원 LG 양준석이 21일 창원체육관에서 열린 2025 프로농구 시범경기 부산 KCC와의 홈 경기에서 드리블하고 있다. KBL 제공
KCC는 2m의 신장에 빠른 속도와 드리블, 패스 능력을 두루 갖춘 최준용이 핵심이다. 새로 합류한 가드 허훈은 종아리 부상으로 시즌 초반 결장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상민 KCC 감독은 최준용에 대해 “아픈 허훈 대신 경기를 조율하는 비중이 커질 수 있다. 최준용뿐 아니라 송교창, 허웅 등 모든 주전 선수가 공을 잡으면 뛸 수 있다는 게 우리 무기”라고 자신했다.
문경은 감독이 지휘봉을 잡은 kt는 허훈을 보내고 김선형을 데려오며 빠른 팀으로 변모했다. 문 감독은 2020~21시즌까지 서울 SK의 사령탑을 맡아 김선형을 리그 최고 가드로 성장시켰고 2017~18시즌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합작했다. 김선형은 문 감독이 “훌륭한 속공 마무리 능력을 갖췄다”고 평가한 문정현, 문성곤, 하윤기 등 국가대표급 포워드들과 호흡을 맞춘다.
반면 압도적으로 평균 속공 성공 1위(7.8개)를 달렸던 SK는 김선형의 공백을 슈터 김낙현으로 채우면서 3점 비율을 늘릴 전망이다. 전희철 감독은 “지난 시즌 기록했던 속공 수치를 달성하긴 힘들 것 같다. 다만 빠른 농구를 계속 추구하며 외곽슛으로 공간을 넓힐 것”이라면서 “김낙현이 느리진 않은데 김선형처럼 치고 들어가지 않고 3점을 던지는 유형이다. 외곽 공격으로 속공에서 빠진 득점을 채우겠다”고 다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