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BA 투어 해커, 이름값도 베팅 배당률도 쑥~

PBA 투어 해커, 이름값도 베팅 배당률도 쑥~

최병규 기자
입력 2021-12-07 19:13
수정 2021-12-08 09: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크라운해태 챔피언십 패하면 12.28배 ‥ 승리에 대한 기대감 반영

12.28배. 네 번째 프로당구(PBA) 투어 대회에 출전하는 해커의 베팅 배당률이다.
이미지 확대
‘당구 유튜버’ 해커가 지난 21일 김남수와의 PBA 투어 TS샴푸 챔피언십 8강전에서 승리한 뒤 큐를 집어들고 기뻐하고 있다. [PBA 제공]
‘당구 유튜버’ 해커가 지난 21일 김남수와의 PBA 투어 TS샴푸 챔피언십 8강전에서 승리한 뒤 큐를 집어들고 기뻐하고 있다. [PBA 제공]
저항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가이 포크스의 가면’을 쓰고 프로당구판에 뛰어든 ‘당구 인플루언서’ 해커가 올 시즌 네 번째 대회인 크라운해태 PBA 챔피언십에도 출전한다. 시드는 없지만 이번에도 타이틀 스폰서의 와일드카드를 받았다.

해커에 대한 관심은 타이틀 스폰서 뿐 아니라 PBA가 자체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PBA 토토’의 베팅 현황에서도 실감할 수 있다. 8일 오후 11시 이교석을 상대로 시작되는 해커의 1회전(128강)에 걸린 배당률은 7일 오후 6시 현재까지 이기면 1.21배, 무승부이면 3.50배, 지면 12.58배인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베팅은 경기 시작 직전인 8일 오후 10시 59분 59초까지 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 배당률은 얼마든지 변동의 여지가 있지만 ‘12.58배’라는 수치는 ‘반란의 주동자’로 인식되는 해커의 현재 위상을 그대로 반영한 결과다. 그는 지난 9월 두 번째 대회인 TS샴푸 챔피언십 32강전에서 ‘사대천왕’ 프레데릭 쿠드롱(벨기에)를 몰아붙인 끝에 3-0 완승을 거두고 국내 ‘베테랑’ 김종원을 제치는 등 연일 파란을 일으키며 4강까지 진출했다.
이미지 확대
‘당구 유튜버’ 해커가 지난 21일 김남수와의 PBA 투어 TS샴푸 챔피언십 8강전 도중 목적구를 조준하고 있다. [PBA 제공]
‘당구 유튜버’ 해커가 지난 21일 김남수와의 PBA 투어 TS샴푸 챔피언십 8강전 도중 목적구를 조준하고 있다. [PBA 제공]
배당률은 수치가 높을 수록 승부에 걸린 해당 항목의 기대치가 낮다는 걸 의미한다. 해커의 경우, 승리에 100원을 걸어 기대한 결과가 나오면 121원을 딴다는 의미다. 반면 해커의 패배에 100원을 걸어 실제로 패하면 1258원을 딸 수 있다.

질 경우보다 이길 경우 버는 돈이 적다는 건 그만큼 승리에 대한 기대치가 높다는 뜻이다. 승부치기가 적용되는 128강전의 무승부 배당률도 3.50배나 돼 베팅 당사자들의 기대와 예상은 패배 또는 무승부보다 해커의 승리에 쏠려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해커가 지난 6월 PBA 투어 블루원리조트 챔피언십 1회전에 앞서 익살스런 몸짓을 하고 있다. [PBA 제공]
해커가 지난 6월 PBA 투어 블루원리조트 챔피언십 1회전에 앞서 익살스런 몸짓을 하고 있다. [PBA 제공]
해커가 쿠드롱을 이길 당시 쿠드롱의 승리에 베팅한 이들의 배당률은 1.15배에 불과했지만 해커의 승리에 돈을 건 이들은 3배 가까운 3.13배의 배당을 만끽했다. 반면 4강까지 오른 뒤 다비드 마르티네스(스페인)와의 준결승에서 집계된 배당률은 1.64(해커)와 1.72배(마르티네스)로 거의 같았다. 쿠드롱을 비롯해 국내외 강호들을 꺾은 뒤라 승리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진 것이다.

지난 달 열린 휴온스 챔피언십에서 해커는 128강전에서 카를로스 앙기타(스페인)에 져 초반 탈락했다. 당시 해커의 배당률은 승 1.46배, 무승부 2.57배, 패에 6.96배였다. 높아진 명성 만큼이나 승패에 대한 베팅 배당률도 역전된 것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