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에 익은 장비는 선수들에게 최고의 무기가 된다. 전장에 나선 장수가 늘 쓰던 창을 들듯 운동선수들도 자신의 몸에 최적화된 장비를 들고 나선다. 장대높이뛰기 선수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장대다.
이미지 확대
파비아나 무레르(브라질)가 지난 30일 대구스타디움에서 열린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여자 장대높이뛰기 결승에서 장대를 꼭 쥐고 하늘로 솟구치고 있다. 대구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파비아나 무레르(브라질)가 지난 30일 대구스타디움에서 열린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여자 장대높이뛰기 결승에서 장대를 꼭 쥐고 하늘로 솟구치고 있다. 대구 연합뉴스
지난 30일 대구 스타디움에서 열린 세계육상선수권대회 결승에서 장대가 영향을 미쳤다. 4m 65로 6위에 그쳐 명예회복에 실패한 ‘미녀새’ 옐레나 이신바예바(러시아)는 경기 뒤 “컨디션은 좋았는데 내게 맞는 장대를 가져오지 못했다.”고 했다. 29일 남자 장대높이뛰기 결승에선 얀 쿠들리카(체코)와 드미트리 스타로둡체프(러시아)의 장대가 두 동강 나면서 도약에 실패, 성적이 저조했다. 이번 대회 금메달을 차지한 파비아나 무레르(브라질)는 2008년 베이징올림픽 결승전에서 부진했는데 자신의 장대를 잃어버려 남의 장대로 경기에 나섰기 때문이다.
선수들은 보통 한 경기에 4~6개의 장대를 들고 나온다. 크로스바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탄성과 내구성이 높은 장대로 바꿔 사용한다. 또 장대가 무겁고 길수록 유리하다. 세르게이 붑카(우크라이나)는 1994년 6m 14의 세계기록을 세울 당시 6m가 넘는 장대를 사용했다. 최초의 장대는 서양호두나무나 물푸레나무로 만들어 탄성이 좋지 않아 기록도 저조했다. 하지만 1960년대부터 유리섬유와 탄소섬유 재질의 장대가 쓰이면서 기록혁명이 일어났다. 그러나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은 장대의 규격을 정해놓지 않았다. 그래서 선수들은 각자 자신의 체격조건에 맞는 장대를 사용한다.
대구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1-09-01 2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