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KLPGA)는 11일 “구옥희 전 KLPGA 회장이 지난 10일 오후 4시쯤 일본 시즈오카현의 한 골프장 숙소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한 것으로 파악됐다”며 “사태를 수습 중”이라고 밝혔다. 고인은 일본에서 연습 라운드를 하는 중이었지만 숨진 당일에는 몸이 좋지 않아 골프를 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KLPGA 측은 “구체적인 장례 일정 등은 고인의 시신이 일본에서 운구된 이후 결정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고인은 KLPGA를 연 ‘4인방’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의 협회 회원번호는 003번. 한명현 전 부회장과 안종현(이상 사망)씨, 현재 KLPGA 수석 부회장인 강춘자(57)씨와 함께 한국 여자골프의 기틀을 닦은 선구자였다. 당시 KLPGA는 남자 협회인 KPGA의 사무실 귀퉁이 한쪽을 빌려 쓰는 초라한 처지였지만 현재 LPGA 투어에서 118승을 쌓은 한국 여자골프의 시초였다.
1975년 경기 고양의 한 골프장에서 캐디로 일하다 채를 잡고 거의 독학으로 골프를 배웠다. 1978년 테스트를 통과해 프로에 입문한 고인은 이듬해 KLPGA 투어 쾌남오픈을 시작으로 2005년 일본여자프로골프(JLPGA) 투어 서클K 선크스 레이디스까지 국내외에 걸쳐 프로 통산 44승을 쌓았다. 국내 투어 우승컵 20개를 수집한 그는 1983년에는 일본 프로테스트에 합격, JLPGA 무대로 활동 영역을 넓혀 이듬해에는 한국선수 최초로 JLPGA 투어 대회에서 우승했다.
이어 미국 무대까지 진출, 1988년 미여자프로골프(LPGA) 투어 탠더드 레지스터대회에서 한국인 최초로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리기도 했다. 일본과 미국(1승) 등 해외 투어에서 일궈낸 승수는 24승.
고인은 2006년부터 2011년 3월까지 KLPGA 부회장을 지낸 데 이어 2011년 4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회장 업무를 수행했다. 2004년에는 LPGA 투어 우승 한국인 1호의 업적을 인정받아 KLPGA 명예의 전당에 제1호로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특히 고인은 최근까지 KLPGA 투어 대회에 평회원 자격으로 꾸준히 출전, 후배들의 귀감이 돼 왔다.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