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번의 시련 이겨낸 작은 거인… 화려한 부활쇼

세 번의 시련 이겨낸 작은 거인… 화려한 부활쇼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23-05-01 01:33
수정 2023-05-01 01: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다연, KLPGA 챔피언십 제패
입스·인대 부상 극복 7번째 우승
‘루키 돌풍’ 방신실 공동 4위 선전

박상현, 코리아챔피언십 공동 3위

이미지 확대
30일 경기 양주 레이크우드CC에서 열린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올 시즌 첫 메이저 대회인 크리스에프앤씨 제45회 KLPGA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이다연(왼쪽)이 지난해 우승자인 김아림으로부터 축하의 물세례를 받고 있다. 아래 사진은 우승컵을 든 이다연의 모습. KLPGA 제공
30일 경기 양주 레이크우드CC에서 열린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올 시즌 첫 메이저 대회인 크리스에프앤씨 제45회 KLPGA 챔피언십에서 우승한 이다연(왼쪽)이 지난해 우승자인 김아림으로부터 축하의 물세례를 받고 있다. 아래 사진은 우승컵을 든 이다연의 모습.
KLPGA 제공
‘작은 거인’ 이다연이 올 시즌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투어 첫 메이저 대회에서 우승하며 화려하게 복귀했다.

이다연은 30일 경기 양주시 레이크우드 컨트리클럽 산길·숲길 코스(파72·6570야드)에서 열린 크리스에프앤씨 KLPGA 챔피언십(총상금 13억원) 최종 라운드에서 4언더파 68타를 쳤다. 최종 합계 13언더파 275타를 기록한 이다연은 2021년 한화클래식 제패 이후 1년 8개월 만에 통산 일곱 번째 우승컵을 들었다.

2019년 한국여자오픈, 2021년 한화클래식에 이어 KLPGA 챔피언십까지 거머쥐며 메이저 대회에서만 3승을 거둔 이다연은 커리어 그랜드슬램에도 한 걸음 다가섰다. 2015년 데뷔한 이다연의 프로 생활은 쉽지 않았다. 2016년 갑자기 드라이버 입스가 찾아와 13개 대회에서 12번 컷 탈락을 당했다. 시즌 막판 3개 대회에서 톱10에 두 번 입상하지 않았다면 시드 유지도 힘들었다.

2017년엔 더 큰 시련이 찾아왔다. 시즌을 앞둔 3월 훈련 도중 왼쪽 발목 인대가 파열됐다. 그해 역시 시즌 막판인 10월 팬텀 클래식에서 역전 우승이 없었다면 시드를 빼앗길 수 있었다.

기사회생한 이다연에게 2018년은 봄이었다. 2018년 통산 두 번째 우승컵을 든 이다연은 2019년에는 메이저 대회 한국여자오픈을 포함해 3승을 쓸어 담았다. 또 2021년 메이저 대회 한화클래식 정상에 오르며 KLPGA 강자 자리를 굳히는 듯했다. 하지만 지난해 여름 팔목 인대가 파열되면서 시즌을 일찍 접었고, 수술 후 재활에 매달리느라 전지훈련도 못 갔다. 국내 개막전을 한 달 앞두고서야 풀스윙 연습이 가능했다. 그러나 이다연은 또다시 오뚝이처럼 일어났다.
이미지 확대
이다연 연합뉴스
이다연
연합뉴스
이날 이다연은 장타와 패기로 무장한 방신실과 접전을 벌이다가 15번(파5) 홀에서 버디를 잡아 승부를 결정지었다. 경기 후 인터뷰에서 이다연은 “(시련을 겪을 때마다) 많이 아팠다”면서 “그때마다 내가 놓인 처지보다 어떻게 해야 시련을 이겨 낼 수 있는지를 더 많이 생각했다. 시련을 통해 성장했다”고 말했다.

3언더파 69타를 친 손예빈과 2타를 줄인 박결이 공동 2위(9언더파 279타)에 올랐다. 방신실은 우승은 놓쳤지만 나흘 내내 선두권을 달린 끝에 공동 4위(8언더파 280타)를 차지해 주목받았다. 디펜딩 챔피언 김아림은 3타를 잃고 공동 22위(2언더파 286타)로 대회를 마쳤다.


뱅골프 초고반발 드라이버, 적은 힘으로 30야드 이상 비거리 향상

골프 드라이버 시장에 혁신을 일으킨 뱅골프의 초고반발 드라이버가 적은 힘으로도 큰 비거리를 낼 수 있는 비결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 드라이버보다 반발계수(COR)가 월등히 높은 뱅골프 드라이버는 동일한 스윙으로 최대 30~50야드의 비거리 증가를 구현해준다는 설명이다 힘이 부족한 골퍼도 장타를 실현할 수 있게 돕는 핵심 요인이다. 뱅골프에 따르면, 드라이버의 반발계수가 0.01 높아지면 이론상 볼 비거리가 약 2야드 증가한다. 뱅골프는 수년에 걸친 연구 끝에 반발계수 0.925~0.962에 이르는 드라이버를 연이어 선보였다 이는 미국·영국 골프협회의 제한 규정(0.830)을 훨씬 뛰어넘는 수치로, 임팩트 순간 공에 전달되는 에너지를 극대화해준다. 그 결과 골퍼들은 예전보다 적은 스윙 에너지로도 공을 멀리 보낼 수 있어 체력 부담을 덜 느끼고 있다. 실제로 한 중장년 골퍼는 “예전엔 힘껏 쳐도 드라이버 비거리가 부족했는데, 뱅드라이버로 교체 후 훨씬 쉽게 20~30야드는 더 나간다”고 만족감을 나타냈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높은 반발력과 효율적인 에너지 전달이 장타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고 평가한다. 뱅골프 드라이버는 프로 선수뿐 아니라 힘이 약한 시니어
thumbnail - 뱅골프 초고반발 드라이버, 적은 힘으로 30야드 이상 비거리 향상

한편 한국프로골프(KPGA)와 DP월드투어 공동 주관으로 인천 잭니클라우스 골프클럽 코리아(파72·7470야드)에서 열린 코리아 챔피언십(총상금 200만 달러)에선 베테랑 박상현이 최종 합계 9언더파 279타로 공동 3위를 차지했다. 우승은 12언더파 276타를 친 파블로 라라사발이 차지했다.
2023-05-0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