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밴쿠버 D-3] 숫자로 풀어 본 동계올림픽

[밴쿠버 D-3] 숫자로 풀어 본 동계올림픽

입력 2010-02-10 00:00
수정 2010-02-10 0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10 밴쿠버동계올림픽 개막이 사흘 앞으로 다가왔다. 특히 이번 대회에는 다양한 종목에 쟁쟁한 한국 선수들이 출전해 ‘골라 보는 재미’가 있다. 대회마다 벅찬 감동을 안겼던 쇼트트랙은 물론, 김연아(20·고려대)가 출전하는 피겨 스케이팅과 첫 금메달을 노리는 스피드 스케이팅 등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동계올림픽을 숫자로 살펴봤다.

이미지 확대
한 가지 생각뿐…  흑인 최초의 동계올림픽 개인종목 금메달리스트인 샤니 데이비스(미국)가 9일 캐나다 밴쿠버의 리치먼드 올림픽오벌에서 진지한 표정으로 스피드 스케이팅 1000m 연습 레이스를 펼치고 있다. 밴쿠버 AP 특약
한 가지 생각뿐…
흑인 최초의 동계올림픽 개인종목 금메달리스트인 샤니 데이비스(미국)가 9일 캐나다 밴쿠버의 리치먼드 올림픽오벌에서 진지한 표정으로 스피드 스케이팅 1000m 연습 레이스를 펼치고 있다.
밴쿠버 AP 특약
0
캐나다가 안방에서 딴 금메달 수. 캐나다는 앞서 두 번의 올림픽을 유치했다. 1976년 몬트리올 하계올림픽과 1988년 캘거리 동계올림픽. 하지만 홈 이점에도 불구하고 단 한 개의 금메달도 따지 못했다.

5 스피드 스케이팅의 이규혁(32·서울시청)은 5번째로 올림픽에 출전한다. 1994년 릴레함메르대회 때 세계 최연소(16세)로 출전했던 이규혁은 이후 5회 연속 올림픽 메달에 도전한다. 동·하계를 통틀어 5회 연속 올림픽에 나간 선수는 여자핸드볼의 오성옥(38·히포뱅크), 남자사격의 이은철(43) 등 4명뿐. ‘빙속의 전설’ 에릭 하이든(미국)은 동계올림픽 유일의 5관왕이다.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대회에서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500·1000·1500·5000·10000m에서 모두 1위에 올랐다.

10 한국은 ‘2회 연속 종합 10위 진입’을 목표로 내걸었다. 2006 토리노올림픽에서는 금6·은3·동2개로 종합 7위에 올랐다.

11 러시아는 1964년 인스브루크올림픽부터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올림픽까지 피겨 스케이팅 페어부문에서 11회 연속 금메달을 차지했다. 한 국가가 특정종목을 연패한 역대 최고 기록이다.

13 러시아는 1976년 삿포로에서 금메달 13개를 획득, 종합 1위에 올랐다. 한 국가가 단일 동계올림픽에서 따낸 최다 금메달이다.

15 밴쿠버대회 기본종목 숫자다. 총 86개의 금메달이 걸렸다.

16 캐나다는 1920년 안트워프올림픽부터 1932년 레이크플래시드대회까지 아이스하키에서 16연승을 거뒀다.

21 1924년 프랑스 사모니에서 처음 개최된 뒤 이번 대회가 21회째다.

29 역대 동계올림픽에서 한국 쇼트트랙이 획득한 메달 수. 1992년 알베르빌 대회 때 첫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쇼트트랙은 지난 토리노대회까지 금17·은7·동5개를 따내며 ‘효자종목’ 노릇을 톡톡히 했다.

36 한 대회에서 특정국가가 따낸 역대 최다 메달 수. 독일은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에서 금12·은16·동8개를 수확했다.

46 한국은 밴쿠버올림픽에 남자 27명, 여자 19명 등 총 46명의 선수를 보냈다.

201 동계올림픽에서 가장 속도가 빠른 종목은 봅슬레이로 최고시속은 201㎞에 이른다. 커브 시 압력은 중력의 4~5배. 같은 썰매 종목인 루지와 스켈레톤은 평균속도가 시속 140㎞에 달한다.

280 ‘겨울스포츠 강국’ 노르웨이는 동계올림픽에서 가장 많은 280개의 메달을 거둬들였다.

조은지기자 zone4@seoul.co.kr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탄천변 동측도로 구조개선’ 착공식 참석

서울시의회 임춘대 기획경제위원장(송파3, 국민의힘)은 13일 송파구 숯내공원에서 개최된 ‘탄천변 동측도로 구조개선(1구간)’ 착공식에 참석했다. 탄천변 동측도로 구조개선은 송파구 문정동 올림픽훼밀리아파트에서 잠실동 삼성교까지 총 4.9km 구간의 탄천 제방도로와 하단도로의 통합 정비 및 구조개선을 실시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동남권 일대 대규모 개발사업에 따른 교통량 증가로 인한 상습 정체를 해소하고, 동부간선 우회도로 기능 확보를 통한 지역 간 이동성과 접근성 향상을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사업은 총 2개 구간으로 나눠 진행되고 있으며, 1구간은 올림픽훼밀리아파트에서 광평교사거리까지 0.6km(왕복 6차로), 2구간은 광평교사거리에서 삼성교 북단까지 4.3km(왕복 4~6차로)다. 이번 착공식은 1구간 공사에 대한 것으로 2005년 사업계획이 수립된 이후 20년 만에 실시된 것이다. 임 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수많은 행정절차와 난관을 넘어 계획된지 무려 20년 만에 첫 삽을 뜨게 되어 감회가 크다”라며 “단순한 도로 정비가 아니라 서울 동남권 교통체계를 새롭게 설계하는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구조개선을 통해 동남권 교통
thumbnail -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탄천변 동측도로 구조개선’ 착공식 참석

2010-02-1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