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산층 31% 금융위기후 소득 감소”

“서울 중산층 31% 금융위기후 소득 감소”

입력 2010-07-05 00:00
수정 2010-07-05 08: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뒤 서울에 사는 중산층 세 가구 중 한 가구 꼴로 소득이 감소했으며, 절반 이상의 가구는 생활비를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서울시정개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6월 서울에 사는 월평균 소득 150만∼450만원의 중산층 1천가구를 대상으로 생활실태를 면접 조사한 결과, 31.1%가 ‘금융위기 후 수입이 감소했다’고 답했다.

수입 감소 가구의 비율을 소득수준별로 보면 ‘150만∼200만원’ 39.5%, ‘200만∼300만원’ 33.6%, ‘400만∼450만원’ 27.7%, ‘300만∼400만원’ 26.5% 등으로, 대체로 소득이 낮을 수록 높았다.

또 전체의 절반이 넘는 54.1%가 ‘금융위기 전보다 생활비를 줄였다’고 답했으며, 지출을 줄인 항목은 외식비, 식료품비, 사교육비 등 순이었다.

금융위기 이후 주거 조건이 악화된 가구의 비율은 6.4%였으며, 이중 32.8%는 살던 집의 규모를 줄였고 31.3%는 자가에서 전세 또는 월세로 옮겼다.

수입이 지출보다 적어 ‘적자재정’을 겪은 가구는 39.5%였고 금융위기로 은행이나 친지, 사채를 통해 빚을 진 가구도 31.8%였다.

경제적인 이유로 병원을 이용하지 못한 가구 비율은 5.9%였으며, 월평균 가구소득 ‘150만∼200만원 미만’ 가구는 이 비율이 열 가구 중 한 가구(11.9%)에 달했다.

특히 금융위기 이후 ‘가족간 대화가 줄었다’는 가구가 12.6%, ‘다투는 횟수가 늘었다’는 가구가 10.1%였으며, ‘이혼을 심각하게 고려한 적이 있다’ 가구도 5.5%에 달해 경제 문제가 가족관계에도 악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김경혜 선임연구위원은 “금융위기는 1997년의 외환위기처럼 대량실업이나 고용환경 악화를 유발하진 않았지만 전반적인 경기침체로 중산층의 경제 상태가 악화됐다. 중산층을 포함한 보편적 복지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조사대상은 무작위 추출로 선정했으며 조사결과의 신뢰수준은 95%, 오차는 ±3.1%이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117년 만의 기록적 폭염 속에서 서울지하철 일부 역사가 체감온도 40도에 가까운 ‘찜통’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지하철 각 호선 주요 역사 17개 역을 대상으로 오전 8시, 오후 3시, 오후 6시의 온도를 표본 측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옥수역의 경우 24일 오후 3시 39.3도, 오후 6시 38.1도를 기록하는 등 시민들은 ‘찜통역’을 경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2호선 성수역 또한 24일 오후 39도를 기록하는 등 매우 높은 온도를 기록했으며 조사한 3일간 오전 8시 온도 역시 30도를 넘겨 오후 기록보다는 낮지만, 서울지하철 기준온도(가동기준온도 29℃)보다 높은 것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 지하역사인 아현역(최고 31.2도), 한성대입구역(최고 31.5도), 서울역(30.5도)도 조사 기간 내 오후뿐만 아니라 아침 시간대에도 이미 29~30도를 기록하여 시민들이 온종일 더위에 노출되고 있으며, 실제 체감온도는 측정치보다 훨씬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상역사에 비해 지하역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지만, 밀폐 구조로 인해 공기가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