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날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힌 김종열 하나금융지주 사장은 12일 서울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하나금융과 외환은행의 발전을 위해서는 누구든 간에 사리사욕을 버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인적으로 김승유 회장이 곤혹스러워하시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도 했다. 다음은 김 사장과의 일문일답.
이미지 확대
김종열 하나금융 사장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김종열 하나금융 사장
→유력한 다음 회장으로 거론됐는데 왜 갑자기 그만두나.
-개인의 작은 이해타산은 버리고 큰 이익을 생각해야 한다. 외환은행 인수의 실무 책임자는 나였다. 조직을 위해 빨리 통합되려면 내가 물러나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 일을 계기로 외환은행과 잘 화합해서 하나금융이 큰 은행이 됐으면 좋겠다. 금융기관에 이런 전통이 뿌리내리길 바라는 마음이다.
→후계 구도 갈등 때문에 일어난 2010년 ‘신한금융사태’처럼 안 간다는 뜻인가.
-고객의 자산을 관리하는 은행이 (권력 때문에) 분열되면 안 된다. 모든 것 (후계 구도 등)을 명쾌하게 해야 한다.
→반평생 넘게 몸담았던 하나금융을 떠나는 심정은.
-개인의 감정은 중요하지 않다. 사람은 100년 이상 못 살지만 법인은 영원히 간다. 법인으로서 하나와 외환이 바라는 바가 있고 나는 그것을 대변할 뿐이다. 두 은행이 힘을 합쳐 더 좋은 모습으로 다시 태어난다면 그보다 좋은 일이 어디 있겠는가.
→하나와 외환의 시너지는 어떻게 평가하나.
-구성원들이 힘을 합친다면 2~3년 안에 세계 50위 금융그룹에 들 수 있을 것이고 이를 발판으로 20위권으로 진입하는 것도 문제없다.
→후임은 누가 맡을 것 같나.
-걱정 안 해도 된다. 같이 외환은행 인수를 추진해 온 능력 있는 후배들이 많이 있다. 내가 아니면 안 된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2-01-1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