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대담자’ 제정임교수 한국경제 진단서 펴내

제정임 교수
대담집 ‘안철수의 생각’을 펴냈던 그가 이번에는 한국경제 진단서를 내놓았다. 도서출판 오월의봄에서 나온 ‘동네북 경제를 넘어’다.
“바깥(해외)에서 문제가 생길 때마다 한국경제는 왜 유독 더 심한 만신창이가 되는지, 어쩌다가 이런 글로벌 동네북 신세가 된 건지 짚어 보고 싶었다”는 제 교수는 그 원인을 ‘개방만이 살길’이라고 외친 역대 정부의 정책에서 찾았다. 그 결과 선진국 입맛에 맞는 세계화를 야기했다는 것이다.
제 교수는 “미국 신용등급 하락 등 국제 변수만 있으면 휘청거리는 것이 한국”이라면서 “역대 정부가 ‘우리는 수출을 해야 먹고산다’는 논리로 실력에 비해 과하게 문을 연 것이 화근이 됐다”고 지적했다.
특히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도 ‘감세와 규제 완화’라는 역주행을 고집한 이명박 정부의 잘못이 가장 뼈아프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새로 출범한 박근혜 정부는 ‘무분별한 개방’이 아닌 중소기업과 노동자, 농민 등 경제적 약자의 권익을 생각하고 투기자본에 대한 통제권을 확보하는 ‘분별 있는 정책’을 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제 교수는 “지난 대선 결과가 달랐다면 지금쯤 그 새 정부를 향해 쓴소리를 하고 있었을 것”이라면서 “경제를 보는 시각이 다른 정부가 들어섰기에 이 책을 쓰게 됐다”고 말했다.
기자 출신인 그는 서울대 사회학과를 나와 같은 대학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안 전 후보가 사실상 대선 공약집인 ‘안철수의 생각’ 대담자로 별 친분이 없던 제 교수를 지목한 것은 그가 펴낸 ‘벼랑에 선 사람들’을 보고서였다고 한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3-03-07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