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휴가에 전통시장으로 오세요.”
전통시장은 그 지역의 특산물과 지역 특색이 담긴 먹거리를 만날 수 있다. 장터의 풍경, 시장에서 묻어나는 따뜻한 정은 전통시장의 덤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실시 중인 ‘대한민국 구석구석 나만의 여름특집 캠페인’(http://summer.visitkorea.or.kr)에서는 시장경영진흥원이 추천한 전국 주요 문화관광형 전통시장 45곳이 소개돼있다.
이 중 대표적인 4곳을 소개한다.
◇ ‘향수 어린 고향 장터’ 정남진 장흥토요시장
예로부터 장흥시장은 나주 영산포 홍어시장, 함평 학다리 우시장과 더불어 전라남도 3대 시장으로 유명했다. 그 후 2005년에는 시설 현대화 사업을 거쳐 토요일에만 전국 최초의 주말 관광형 시장으로 탈바꿈한 전남의 대표 시장이다.
장흥시장에 방문하면 꼭 맛봐야 할 게 한우다. 또 먹는 버섯과 키조개는 장흥 삼합으로 불리며 방문객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특히 키조개 가격이 저렴하며 할머니들이 직접 텃밭에서 가꾼 산나물과 농산물도 많이 판매된다.
장흥은 이달 말에는 ‘장흥 물축제’가 열려 많은 휴가객들을 유혹하고 있다.
물축제와 함께 오는 26일부터는 탐진강변의 잔디밭에는 오토캠핑대회도 열려 캠핑족들을 유혹하고 있다. 장흥토요시장 ☎ 061-864-7002, 061-860-0741
◇ ‘물회의 천국’ 포항 죽도시장연합
포항 죽도시장은 1954년 시장을 개설한 이후 1971년에 본격적인 시장의 모습을 갖췄고 지금은 포항 시내에서 가장 대표적인 수산시장으로 발전했다.
포항 죽도시장은 횟집과 건어물상가·잡화물·의류상가로 구성돼있어 회 말고도 다양한 상품을 만나볼 수 있다. 회 센터 앞쪽에는 닭 골목과 떡집 골목도 있어 풍성하고 다양한 먹거리를 맛볼 수 있다.
과메기의 고장이자 물회의 원조인 포항 죽도시장에서 맛있는 해산물을 준비해 주변에 위치한 호미곶을 방문하면 금상첨화다. 시원한 바다와 신선한 해산물, 누구나 부러워할만한 알찬 여름휴가가 될 것이다.
포항 인근에는 상옥·하옥유원지가 간단한 장비로 캠핑이 가능하며 썬빌리지 오토캠핑장과 땅끝황토펜션 오토캠핑장 등에서 오토캠핑이 가능하다.
포항죽도시장 ☎ 054-247-3776
▲ ‘웰컴 투 힐링’ 정선 아리랑시장
1966년에 시작된 정선아리랑시장은 ‘정선 5일장’이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하다. 40년 넘은 역사를 가진 정선아리랑시장은 강원도의 자연과 정취를 느낄 수 있어 전국 각지의 관광객들로 늘 붐빈다.
매월 2, 7, 17, 22, 27일에 장이 서는 국내 최대 규모의 5일장이다.
강원도에서 나는 각종 산나물, 곤드레나물밥, 콧등치기 국수 등 토속적인 먹거리도 빼놓을 수 없다. 주변에는 국내 유일의 테마형 동굴인 화암동굴과 레일바이크 체험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짚와이어를 탈 수 있는 병방치 스카이워크가 생겨 호평을 받고 있다.
강원도의 아름다운 자연을 만날 수 있는 아우라지, 민둥산과 함께 정선의 옛 가옥을 재현한 아라리촌 등에서도 강원도의 다양한 매력을 느낄 수 있다.
정선에는 졸드루캠핑장을 비롯해 화암약수 캠핑장 등 인기 있는 캠핑장도 많다.
정선아리랑시장 ☎ 033-563-6200
▲ ‘단양의 아홉 번째 볼거리’ 단양 구경시장
단양구경시장은 상설시장과 전통 5일장이 공존하는 시장으로 처음 기록된 것은 1770년경 ‘동국문헌비고’였을 만큼 역사가 깊다. 단양장은 1985년 충추댐 건설로 현재의 단양군 도전리에 새로 자리를 잡고 운영되고 있다.
단양은 예로부터 지리적, 기후적 조건이 명품 마늘을 재배하는데 알맞아 품질이 뛰어난 단양육쪽마늘이 재배돼 전국에 질 좋은 마늘을 공급하며 관련 요리도 많다.
단양 구경시장의 별미로는 씹을수록 구수하고 담백한 맛이 일품인 ‘단양 마늘순대’와 특제 양념으로 조리된 흑마늘 닭강정이 있다.
단양 8경과 함께 단양의 9번째 자랑인 단양 구경시장을 방문한다면 단양의 멋과 맛을 느끼는 만족스러운 여름휴가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단양은 소선암오토캠핑장 주변의 캠핑장들이 인기가 많다. 마을에서 운영하는 사동유원지 등은 아직 덜 알려져 비교적 한적한 캠핑을 즐길 수 있다.
단양구경시장 안내 ☎ 043-422-1706
국내관광 활성화 캠페인과 국내관광에 대한 정보는 관광안내전화 ☎ 1330이나 포털사이트에 ‘대한민국 구석구석’ 홈페이지에서 얻을 수 있다.
연합뉴스
전통시장은 그 지역의 특산물과 지역 특색이 담긴 먹거리를 만날 수 있다. 장터의 풍경, 시장에서 묻어나는 따뜻한 정은 전통시장의 덤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실시 중인 ‘대한민국 구석구석 나만의 여름특집 캠페인’(http://summer.visitkorea.or.kr)에서는 시장경영진흥원이 추천한 전국 주요 문화관광형 전통시장 45곳이 소개돼있다.
이 중 대표적인 4곳을 소개한다.
◇ ‘향수 어린 고향 장터’ 정남진 장흥토요시장
예로부터 장흥시장은 나주 영산포 홍어시장, 함평 학다리 우시장과 더불어 전라남도 3대 시장으로 유명했다. 그 후 2005년에는 시설 현대화 사업을 거쳐 토요일에만 전국 최초의 주말 관광형 시장으로 탈바꿈한 전남의 대표 시장이다.
장흥시장에 방문하면 꼭 맛봐야 할 게 한우다. 또 먹는 버섯과 키조개는 장흥 삼합으로 불리며 방문객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특히 키조개 가격이 저렴하며 할머니들이 직접 텃밭에서 가꾼 산나물과 농산물도 많이 판매된다.
장흥은 이달 말에는 ‘장흥 물축제’가 열려 많은 휴가객들을 유혹하고 있다.
물축제와 함께 오는 26일부터는 탐진강변의 잔디밭에는 오토캠핑대회도 열려 캠핑족들을 유혹하고 있다. 장흥토요시장 ☎ 061-864-7002, 061-860-0741
◇ ‘물회의 천국’ 포항 죽도시장연합
포항 죽도시장은 1954년 시장을 개설한 이후 1971년에 본격적인 시장의 모습을 갖췄고 지금은 포항 시내에서 가장 대표적인 수산시장으로 발전했다.
포항 죽도시장은 횟집과 건어물상가·잡화물·의류상가로 구성돼있어 회 말고도 다양한 상품을 만나볼 수 있다. 회 센터 앞쪽에는 닭 골목과 떡집 골목도 있어 풍성하고 다양한 먹거리를 맛볼 수 있다.
과메기의 고장이자 물회의 원조인 포항 죽도시장에서 맛있는 해산물을 준비해 주변에 위치한 호미곶을 방문하면 금상첨화다. 시원한 바다와 신선한 해산물, 누구나 부러워할만한 알찬 여름휴가가 될 것이다.
포항 인근에는 상옥·하옥유원지가 간단한 장비로 캠핑이 가능하며 썬빌리지 오토캠핑장과 땅끝황토펜션 오토캠핑장 등에서 오토캠핑이 가능하다.
포항죽도시장 ☎ 054-247-3776
▲ ‘웰컴 투 힐링’ 정선 아리랑시장
1966년에 시작된 정선아리랑시장은 ‘정선 5일장’이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하다. 40년 넘은 역사를 가진 정선아리랑시장은 강원도의 자연과 정취를 느낄 수 있어 전국 각지의 관광객들로 늘 붐빈다.
매월 2, 7, 17, 22, 27일에 장이 서는 국내 최대 규모의 5일장이다.
강원도에서 나는 각종 산나물, 곤드레나물밥, 콧등치기 국수 등 토속적인 먹거리도 빼놓을 수 없다. 주변에는 국내 유일의 테마형 동굴인 화암동굴과 레일바이크 체험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짚와이어를 탈 수 있는 병방치 스카이워크가 생겨 호평을 받고 있다.
강원도의 아름다운 자연을 만날 수 있는 아우라지, 민둥산과 함께 정선의 옛 가옥을 재현한 아라리촌 등에서도 강원도의 다양한 매력을 느낄 수 있다.
정선에는 졸드루캠핑장을 비롯해 화암약수 캠핑장 등 인기 있는 캠핑장도 많다.
정선아리랑시장 ☎ 033-563-6200
▲ ‘단양의 아홉 번째 볼거리’ 단양 구경시장
단양구경시장은 상설시장과 전통 5일장이 공존하는 시장으로 처음 기록된 것은 1770년경 ‘동국문헌비고’였을 만큼 역사가 깊다. 단양장은 1985년 충추댐 건설로 현재의 단양군 도전리에 새로 자리를 잡고 운영되고 있다.
단양은 예로부터 지리적, 기후적 조건이 명품 마늘을 재배하는데 알맞아 품질이 뛰어난 단양육쪽마늘이 재배돼 전국에 질 좋은 마늘을 공급하며 관련 요리도 많다.
단양 구경시장의 별미로는 씹을수록 구수하고 담백한 맛이 일품인 ‘단양 마늘순대’와 특제 양념으로 조리된 흑마늘 닭강정이 있다.
단양 8경과 함께 단양의 9번째 자랑인 단양 구경시장을 방문한다면 단양의 멋과 맛을 느끼는 만족스러운 여름휴가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단양은 소선암오토캠핑장 주변의 캠핑장들이 인기가 많다. 마을에서 운영하는 사동유원지 등은 아직 덜 알려져 비교적 한적한 캠핑을 즐길 수 있다.
단양구경시장 안내 ☎ 043-422-1706
국내관광 활성화 캠페인과 국내관광에 대한 정보는 관광안내전화 ☎ 1330이나 포털사이트에 ‘대한민국 구석구석’ 홈페이지에서 얻을 수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