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에로플로트, 유럽의 관문… 환승 시간 짧고 안전해요

아에로플로트, 유럽의 관문… 환승 시간 짧고 안전해요

입력 2013-07-25 00:00
수정 2013-07-25 00: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러시아 국영항공 아에로플로트 내부. 아에로플로트는 모스크바를 경유해 유럽과 아시아 간 최단 항로를 운영하고 있다. 아에로플로트 제공
러시아 국영항공 아에로플로트 내부. 아에로플로트는 모스크바를 경유해 유럽과 아시아 간 최단 항로를 운영하고 있다.
아에로플로트 제공
유럽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국영 항공사인 아에로플로트 러시아항공을 추천할 만하다. 모스크바를 기점으로 52개국 118개의 도시에 취항하고 있는 아에로플로트는 유럽 내 최단시간 연결 구간(최소 환승시간 50분)을 자랑한다.

특히 아에로플로트는 스카이팀 국제항공사 연맹 회원으로 대한항공의 마일리지 적립이 가능하다. 기내식도 대한항공의 음식 공급(케이터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올해 창립 90주년, 한국 취항 23주년을 맞았다. 현재 인천~모스크바 노선을 매일 운항하고 있으며 항공 기종은 에어버스사의 330-300 ER로 전 좌석에 개인 모니터가 탑재돼 있다. 아에로플로트는 올여름 보잉 777 기종 변경을 통해 여행객들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보잉 777 기종으로 변경할 경우 기존 302석에서 100석가량 늘어난다.

아에로플로트는 유럽에서 가장 젊고 안전한 비행기를 보유하고 있다. 아에로플로트 비행기의 평균 연령은 5~6년 남짓. 아에로플로트는 국제항공수송협회(IATA)의 안전운항감사(OSA)를 통과한 러시아 최초의 항공사다. 아에로플로트 관계자는 “실속을 중시하는 한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퍼지면서 친숙한 항공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모스크바에서 가장 현대적인 공항 터미널인 ‘셰레메티예보’를 허브로 사용 중이다. 셰레메티예보 터미널은 국제공항협의회(ACI)가 매년 실시하는 세계 공항서비스평가(ASQ)에서 ‘2012년 유럽 최고 공항상’ 1위를 석권한 바 있다.

아에로플로트는 17일(현지시간) 폐막한 카잔 유니버시아드대회와 2014년 2월 개최되는 소치 동계올림픽 공식 후원 파트너사로 러시아와 세계를 잇는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 아울러 2014년 초 비자 면제가 시행될 예정이어서 여행객들에게는 희소식이 될 전망이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김규남 서울시의원, ‘에너지전략 특별위원회’ 구성결의안 대표발의

서울시의회가 급변하는 국내외 에너지·환경 여건 변화에 대응하고, 서울시 에너지 정책의 장기적 비전과 실행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에너지전략특별위원회’(이하 특위) 구성을 추진한다. 김규남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송파1)이 12일 ‘서울시의회 에너지전략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특위 구성 결의안은 급성장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고, 에너지 산업을 서울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키우기 위한 종합 전략 마련을 위해 발의됐으며 27명의 의원이 공동 발의자로 참여했다. 현재 서울시는 에너지의 90% 이상을 외부에 의존하고 있으며, 전기차·데이터센터·AI 산업 확대로 전력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도심 밀집 구조 속에서 전력기반 시설이 노후화되어 안전성과 효율성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다. 또한 32년 만에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기능을 분리해 ‘기후에너지부’ 또는 ‘기후에너지환경부’의 신설을 추진하는 중앙정부 개편에 발맞춰,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에너지 정책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중·장기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김 의원은 “AI산업 확대와 데이터센터 증가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안정적 전력 공급
thumbnail - 김규남 서울시의원, ‘에너지전략 특별위원회’ 구성결의안 대표발의

2013-07-25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