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기능식품 부작용 5년간 400여건 발생”

“건강기능식품 부작용 5년간 400여건 발생”

입력 2013-10-07 00:00
수정 2013-10-07 09: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현숙 의원 “인터넷 통한 불법유통 대책 필요”

건강기능식품의 부작용 사례가 최근 5년 새 446건에 이르며 허위·과대광고도 1천건 넘게 적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현숙(새누리당)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받은 ‘2009~2013년 8월 건강기능식품 부작용 추정사례’에 따르면 2009년부터 현재까지 건강식품을 먹고 구토, 발진 등 부작용을 일으킨 사례가 446건에 달했다.

건강기능식품 부작용 추정사례는 2009년 116건, 2010년 95건, 2011년 108건으로 매년 100건 안팎으로 보고됐다. 지난해에는 58건으로 떨어졌으나 올해 8월까지 총 69건이 신고됐다.

증상별로는 설사·구토·위경련·간 기능 장애 등 소화기 계통 부작용이 227건으로 가장 많았고, 두드러기·발진·탈모 등 피부계통 부작용이 150건, 현기증, 마비, 손발 떨림 등이 127건, 발열, 식은땀, 전신 쇠약 등이 110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소비자원의 건강식품 불만사례를 분석한 결과, 홍삼 제품에 대한 불만이 42건, 인삼 제품이 14건, 프로폴리스 제품이 9건이었다.

검증되지 않은 성분으로 만든 저질 건강식품인 ‘기타 건강식품’으로 인한 불만사례가 344건으로 가장 많았다.

또 건강기능식품 허위·과대광고 적발 건수도 매해 200건 안팎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허위·과대광고를 하다가 적발된 경우는 총 1천55건이었다. 2009년 294건, 2010년 231건, 2011년 266건, 지난해에는 202건이 발생했으며 올 8월까지 62건이 적발됐다.

지난해 확인된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한 불법 식품판매 사이트도 1만646건으로 2009년 468건에서 약 22배 가까이 증가했다.

김 의원은 “국민 건강에 도움이 되어야 할 건강식품이 오히려 국민의 건강을 해치고 있었다”며 “누구나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인터넷을 통해 불법 건강식품이 유통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근본적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