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 등 금융불안 반복 예상
아르헨티나 등 신흥국 경제 불안이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 불안이 우리나라 실물 경제 회복세에 악재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27일 휘청였던 우리나라 금융시장은 안정세를 되찾는 모습이지만, 신흥국 금융불안이 반복적으로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 문제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경제동향간담회의 한은 총재
28일 서울 중구 남대문로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김중수(왼쪽에서 네 번째) 한은 총재가 기념 촬영 이후 자리로 이동하고 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국가의 부도위험을 반영하는 신용부도스왑(CDS) 프리미엄은 우리나라의 경우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양적완화 축소를 결정한 지난달 19일 이후 지난 24일까지 19bp(1bp=0.01%) 올랐다. 이번 금융불안의 첫 ‘제물’인 아르헨티나(972bp)나 주변국인 브라질(34bp) 등보다는 낮지만 미국(0bp), 일본(10bp) 등 선진국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지난 2일 장중 한때 달러당 1050원이 무너졌던 원·달러 환율은 한 달도 안 된 지난 27일 1083.6원(종가 기준)까지 뛰었다.
문제는 대외여건 불안이 이제 시작 단계라는 점이다. 전 세계 은행들의 아르헨티나에 대한 위험노출액(익스포저)은 456억 달러지만 주변국인 브라질(4979억 달러), 멕시코(3773억 달러), 칠레(1440억 달러)로 퍼질 경우 세계 금융 시장에 타격을 주게 된다.
아르헨티나에 대한 우리나라의 수출 비중은 0.2%에 불과하지만, 금융불안이 전이될 수 있는 위험 지역인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에 대한 수출 비중은 10.7%나 된다.
정부는 이번 불안이 금융뿐 아니라 수출 등 실물 경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정책 대응을 강화키로 했다. 미 연방준비제도가 28~29일(현지시간) FOMC 정례회의에서 양적완화 추가 축소를 단행할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코스피는 27일보다 6.59포인트(0.34%) 오른 1916.93으로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2.4원 내린 1081.2원을 기록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4-01-2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