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 협력사 직원 2천명 채용 나선다

삼성그룹, 협력사 직원 2천명 채용 나선다

입력 2014-05-15 00:00
수정 2014-05-15 15: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삼성그룹이 삼성전자 등 10개 계열사와 손잡고 일하는 협력사의 인재 채용에 나섰다.
이미지 확대
채용 박람회 찾은 구직자들
채용 박람회 찾은 구직자들 15일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14 삼성 협력사 채용 한마당’을 찾은 구직자들이 박람회장을 들어오고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1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삼성 협력사 채용 한마당’에는 대덕전자, 이오테크닉스, 동양이엔피, 부전전자 등 삼성전자가 선정한 강소기업과 삼성그룹 계열사와 거래하는 1·2차 협력사 200여개가 빼곡하게 자리 잡았다.

올해로 3회를 맞이한 이번 행사에서 각 기업은 현장에서 신입·경력직 직원 2천여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삼성전자 외에도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SDS,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중공업, 삼성테크윈, 삼성물산, 삼성엔지니어링, 제일모직이 이번 행사에 함께했다.

뛰어난 실력을 갖췄음에도 따로 채용행사를 하기 어려운 중소·중견 기업을 알리고, 구직자에게 맞춤형 일자리를 찾아줄 목적으로 삼성그룹은 이 행사를 2012년부터 이끌어왔다.

이날 박람회는 연구개발, 소프트웨어, 경영지원, 영업·마케팅, 설비, 기술 등 6개 직군별 채용기업관을 운영했다.

삼성그룹 인사담당자 20여명이 박람회를 찾은 구직자의 이력서와 면접 컨설팅을 해줬으며, 해당 구직자에게 가장 적합한 기업을 추천해주기도 했다.

삼성그룹은 지난달 15일부터 채용한마당 홈페이지(http://www.samsung-ibk.co.kr)에서 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현장 면접을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지난달 29∼30일에는 기업 탐방 프로그램 ‘내일(my job)을 만나다’를 운영, 국제일렉트릭코리아와 동성화인텍 등 기업 4곳을 직접 둘러보는 기회도 마련했다.

이날 개막식에는 노인식 삼성경제연구소 사장, 유장희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 이승철 전국경제인연합회 부회장, 송재희 중소기업중앙회 부회장, 전현철 한국중견기업연합회 부회장, 권선주 IBK기업은행 은행장, 김영재 삼성전자협력사협의회 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새날 서울시의원, 제54회 전국소년체육대회 서울대표 결단식 참석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새날 의원(국민의힘, 강남1)은 지난 7일 서울고등학교 강당에서 열린 ‘제54회 전국소년체육대회 서울대표 결단식’에 이새날 서울시의원이 참석해 서울 대표 선수단을 격려했다. 이날 결단식에는 학생선수 856명을 비롯해 학부모, 교사, 지도자 등 약 1000명이 함께했으며, 학생선수단 입장, 축하공연, 격려사, 단기 전달식, 선수 선서, 스포츠 가치 실천 선언 순으로 진행됐다. 이 의원은 격려사를 통해 “서울을 대표해 출전하는 우리 선수들이 최선을 다해 노력한 만큼 값진 결과를 거두길 바란다”며 “학생선수들이 즐겁고 안전하게 꿈을 펼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서울 대표 선수단은 오는 5월 24일부터 27일까지 경상남도 김해 일원에서 열리는 제54회 전국소년체육대회에 참가해 35개 종목에서 기량을 겨룰 예정이며, 금메달 80개 이상 획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학생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안전한 훈련 환경을 위해 훈련비, 안전 설비비, 지도자 인건비 등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학습권과 인권 보장을 위해 방과 후와 휴일을 활용한 훈련을 원칙으로 삼고 있다. 한편, 이 의원은 지난해 제53회 전국소년
thumbnail - 이새날 서울시의원, 제54회 전국소년체육대회 서울대표 결단식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