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명해진 소비자… 불황에 쌓이는 제품
“신문에서 대대적인 세일이라고 해서 첫날부터 왔는데 홍보만 그럴듯하고 살 물건이 영 없네요. 온라인에서 사는 게 더 물건도 많고 저렴한 것 같아요.”
백화점 업계의 세일이 연중무휴 격으로 이어지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지갑이 쉽게 열리지 않고 있다. 계속되는 경기 불황에 연말정산 쇼크까지 겹치면서 구매력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은 오는 5일부터 8일까지 본점에서 단일 명품 행사로는 최대 규모로 해외명품대전을 연다. 앞서 롯데백화점은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1일까지 본점 등 9개 점포에서 겨울 상품을 60~80% 할인 판매하는 특집전을 열었다. 또 지난달 23일부터는 지난해보다 한 달 앞당겨 웨딩패어를 진행했다. 지난달 26일부터는 설 선물세트 판매 행사에 돌입하기도 했다.
이처럼 백화점 업계가 쉬지 않고 세일전을 여는 이유는 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물건이 팔리지 않고 재고가 계속 쌓이고 있기 때문이다. 롯데백화점에 따르면 올겨울은 예년에 비해 따뜻한 날씨로 겨울 상품 재고가 브랜드마다 전년보다 20~30% 많이 남아돌기도 했다.
하지만 소비자들의 반응은 냉담하다. 업계에서 70~80% 세일을 한다고 하더라도 원래 가격 자체가 비싸기 때문에 체감상 할인을 했다고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가격 외에도 인터넷과 모바일로 실시간 가격 비교를 할 수 있다는 점도 백화점 업계의 연이은 세일 행사가 흥행에 실패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업계 관계자는 “가격 비교가 언제 어디서나 가능한 상황이라 기존 고객들을 직구나 온라인 시장에 뺏기지 않고 기존 채널에서 여러 방식으로 구입할 수 있게 하는 게 유통업계의 화두”라고 밝혔다.
업계의 지난해 매출 성적도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빅3 가운데 가장 먼저 실적을 발표한 신세계는 지난해 매출액이 2013년보다 2.7% 줄어든 1조 5020억원으로 집계됐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원다연 인턴기자 panda@seoul.co.kr
2015-02-03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