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값 폭등… 애그플레이션 덮치나

농산물값 폭등… 애그플레이션 덮치나

장은석 기자
입력 2015-07-12 23:32
수정 2015-07-13 02: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무 등 채소 도매가 평년보다 최고 83%↑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로 잔뜩 움츠러든 경기에 ‘애그플레이션’(농산물값이 비싸져 물가가 오르는 현상)까지 덮치면서 서민들의 살림살이가 더 팍팍해질 전망이다. 가뭄에 이어 앞으로 여름철 장마와 태풍이 닥치면 농산물 가격이 줄줄이 오를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가뭄 대비에 미흡했고 생산량 예측에 실패하면서 농산물값 급등을 불러왔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최근 가뭄 여파로 배추, 무, 양파 등 주요 농산물값이 크게 뛰었고 앞으로 더 오를 전망이다.

지난 9일 기준 품목별 도매가격을 보면 배추는 한 포기당 2476원으로 평년(1718원)보다 44.1%나 비싸졌다. 무는 한 개당 2260원으로 평년보다 83.8%나 값이 뛰었다. 대파도 1kg당 1986원까지 오르면서 평년 대비 가격 상승폭이 82.9%나 됐다. 이 외에도 1kg당 양파는 1161원, 마늘은 4900원, 감자는 1060원으로 평년 대비 각각 47.7%, 29.4%, 26.7% 올랐다.

농식품부는 농산물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고 분석했다. 배추의 경우 계속된 강원 지역 가뭄으로 고랭지배추 생산량이 평년보다 8% 줄어들 전망이다. 무도 가뭄 때문에 씨를 못 뿌린 지역이 많아 이달 출하량이 평년 대비 17%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양파도 가뭄으로 작황이 좋지 못해 생산량이 평년보다 14% 감소한다. 양파는 이미 가격 급등으로 지난 7일부터 수급조절 위기 단계(안정→주의→경계→심각)가 ‘심각 경보’로 올랐다.

국제 곡물가격도 들썩이고 있다. 2010년 이후 5년 만에 나타난 ‘엘니뇨’(남아메리카 페루 연안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아지는 현상) 때문이다. 가뭄, 폭우 등 세계 곳곳의 기상이변으로 국제 곡물가격이 오르고 있다. 햇곡식이 나오는 오는 10월까지 상승세가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한국은행도 지난 9일 하반기 경제전망을 발표하면서 기상여건 악화 등으로 인한 농산물 가격 급등과 엘니뇨 등 기상이변으로 인한 국제 곡물가격 급등을 위험요소로 꼽았다.

김완배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지구 온난화로 기후 변화는 급속도로 진행되는데 정부의 농업 대책은 기존 관행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면서 “가뭄, 고온 등으로 고랭지 채소값이 오른다면 북한이나 연해주에 농사를 짓는 등 해외 농업개발 사업을 확대해 농산물 자급률을 높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 교수는 “농산물값을 올리는 경매 방식에서 벗어나 도매시장 거래 방법을 개선하고 농협 등 산지 조직을 키워서 농산물 수집상을 견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5-07-13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