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발전 5년 6개월만에 신규 허가

신고리 5·6호기 건설 반대 기자회견
23일 오후 울산시청 남문 앞에서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 회원들이 신고리 원자력 발전소 5·6호기 건설을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2016.6.23 연합뉴스
국내 원자력발전은 2011년 12월 신한울 1,2호기 건설 허가 이후 5년 6개월만에 신규 원전 허가가 났으며, 현재 건설 중인 원전을 포함해 모두 30기로 늘어나게 됐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23일 제57회 회의를 열고 신고리 5·6호기 건설안을 허가했다고 밝혔다.
원전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지난달 26일 첫 논의가 이뤄진 후 3번째 회의만에 허가가 나온 것이다.
원전 관리 기관인 한국수력원자력은 이에 따라 즉각 착공에 나서 2021년 3월 신고리 5호기, 2022년 3월 신고리 6호기를 각각 준공할 예정이다.
신고리 5·6호기는 현재 건설 중인 신한울 1·2호기와 같은 한국형 원전(APR 1400)으로, 발전용량은 1400㎿다. 설계 수명은 60년이다.
한수원이 처음 원자력안전위에 신고리 5·6호기 건설허가 신청을 한 것은 2012년 9월이다. 원자력안전위는 2013년 5월부터 건설허가 심사에 착수해 2016년 4월까지 총 4차례에 거쳐 자료를 보완하고 검토했다.
신고리 5·6호기가 준공되면 다시 원자력안전위에 운영허가를 받아야 한다. 설계대로 지었는지 확인하고 운영을 허락하는 절차다. 운영허가를 받으면 본격 발전에 나설 수 있게 된다.
신고리 5·6호기 건설에는 논란이 있었다. 울산광역시 울주군 일대는 이미 신고리 3·4호기가 자리잡고 있는 ‘원전 다수호기 지역’이다.
또 원전의 위치가 대도시에 가깝다는 것도 문제다. 신고리 5·6호기가 들어설 예정지의 주변에는 울산·양산 등 인구밀집 도시가 있고, 부산항·울산항·산업단지 등도 원전사고 발생 시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