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정KPMG 경영진단 결과
삼성중공업에 대한 경영진단 결과 향후 5년간 부족 자금이 최대 1조 6000억원에 이를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하지만 공사 지연이나 계약 변경 등으로 인한 추가 손실 위험은 크지 않으며 부족 자금은 이미 제출한 자구계획과 유상증자를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삼성중공업의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회계법인 삼정KPMG에 의뢰해 2개월간 진행한 삼성중공업 경영진단 결과를 19일 서울 여의도 산은 본점에서 채권단에 설명했다. 19개 채권은행 실무자 40여명이 참석했다.삼정KPMG는 공사 지연에 따른 지체상환금(LD), 계약변경(CO), 실행예산, 신규 수주 전망, 자구계획 등을 검토해 향후 손익 전망과 부족자금 규모를 산출했다. 앞서 삼성중공업은 지난달 초 산은에 1조 4551억원 규모의 자구계획을 제출했다. 당시 산은은 자구계획을 승인하면서 경영진단 결과에 따라 필요하면 계획을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삼정KPMG는 삼성중공업의 수주 계획과 드릴십 인도 계획 등에 추가로 차질이 발생하는 경우까지 가정해 삼성중공업의 부족자금 규모를 3가지 시나리오로 추정했다. 추정 결과 부족자금 규모는 8000억~1조 6000억원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부유식 원유생산설비(FPSO)에서 4900억원의 추가 자금이 유입되고, 이미 선주와 합의했으나 아직 반영하지 않은 1800억원의 인센티브 등을 고려하면 부족자금은 9000억원 수준으로 줄어들 수도 있다고 삼정KPMG는 덧붙였다. 이는 약 1조원 안팎의 유상증자가 이뤄지리라는 업계의 예상에 부합하는 것이다. 공사 지연이나 계약 변경 등으로 인한 추가 손실 위험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6-07-20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