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주주가 자주 바뀌는 회사는 주식이나 채권 투자 시 주의해야 한다. 사모 방식의 자금조달 비중이 높고,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를 받은 기업도 신중하게 투자를 결정해야 한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금융감독원은 25일 발간한 ‘금융꿀팁(실용금융정보)-주식·채권 투자에 실패하지 않으려면’을 통해 주식 투자 시 명심해야 할 5계명을 소개했다. ① 우선 최대주주 변경 여부를 체크해야 한다. 최대주주가 자주 바뀌면 안정적인 경영이 어렵기 때문이다. 최근 3년간 최대주주가 두 차례 이상 바뀐 기업 106곳 중 51%(54곳)가 상장폐지되거나 관리종목으로 지정됐다. 그러나 최대주주 변동이 없는 회사의 상장폐지나 관리종목 지정 비율은 13%에 불과하다.
② 임직원의 횡령·배임 사실도 꼭 확인해야 한다. 이런 기업은 내부 통제가 취약하고 경영 상태가 좋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하거나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부실기업 98곳 중 25곳(25.5%)에서 대표 또는 임원이 횡령·배임을 저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③ 사모 방식 자금조달 비중이 큰 회사는 피하는 게 좋다. 사모는 50인 미만 특정 개인·법인 등에게 주식·채권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으로, 재무 상태가 좋지 않은 기업은 주로 사모로 투자금을 모은다. ④ 금감원에서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를 받은 기업도 조심해야 한다. 불리한 내용을 외부에 드러내지 않으려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⑤ 고수익을 미끼로 한 비상장 주식도 주의해야 한다. 소규모 비상장 법인은 증권신고서 등을 공시할 의무가 없고, 회사의 실적과 사업 내용 등을 알기 어렵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16-10-2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