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모비스 제공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소비자가전전시회(CES) 2017’의 현대모비스 부스에서 관람객들이 자율주행 시뮬레이션을 체험하고 있다.
현대모비스 제공
현대모비스 제공
특히 자율주행차의 전제 조건인 첨단운전자지원(DAS)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DAS 기술의 구현 원리가 자율주행 기술의 기본 원리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현대모비스는 적응형 순항제어장치, 차선이탈방지 및 제어장치, 상향램프 자동 전환장치, 자동긴급제동 시스템, 지능형 주차보조 시스템 등의 DAS 기술 양산에도 성공했다. 지난해 6월 국토교통부로부터 자율주행차 임시 운행 허가증도 받았다. 현대차와 서울대 연구팀이 자율주행차 임시 허가를 받은 적은 있지만, 국내 부품사가 정부로부터 임시 허가를 받은 것은 처음이다. 현대모비스는 정부에서 시험운행구역으로 지정한 고속도로(서울~신갈~호법 41㎞)와 국도(수원, 평택, 용인, 파주) 등 총 320㎞ 구간을 오가며 기술의 완성도를 높일 계획이다. 자율주행 전용 시험로를 갖춘 주행시험장도 상반기 내에 완공된다. 서산주행시험장은 여의도 면적의 6배 크기로 총 14개 시험로가 설치된다. 실제 도로에서 맞닥뜨릴 수 있는 모든 돌발 상황을 재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현대차 ‘쏘나타’에 자율주행 기술을 탑재하기도 했다. 차량 앞·뒤·측면에 레이더 5개와 전방 카메라 1개, 제어장치가 장착됐다. 레이더와 카메라 센서는 차 주변 360도를 감지해 각종 주행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2017-03-30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