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방한 관광객 23.8%↑…‘유커의 귀환’ 본격화

4월 방한 관광객 23.8%↑…‘유커의 귀환’ 본격화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5-24 10:53
수정 2018-05-24 10: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인 관광객 작년 동기 대비 60.9% 증가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갈등이 해소 국면에 접어들어 유커(遊客·중국인 관광객)의 귀환이 본격화됨에 따라 4월 한국을 찾은 관광객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한국관광공사는 4월 방한 관광객이 133만1천709명으로,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 23.8% 늘어났다고 24일 밝혔다.

지난해 시행된 단체관광 금지조치가 풀리면서 중국인 관광객이 작년 같은 달에 비해 60.9% 더 많이 방한했다.

일본 관광객은 한반도 평화 분위기 조성과 4월말 골든위크 등 연휴 덕분에 최근 1년여간 가장 높은 두 자릿수 성장(29.0%)을 기록했다.

중국과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중동 국가 방한객은 작년 같은 달과 대비해 13.9% 증가했다.

특히 대만 관광객이 작년 동기보다 32.8% 늘어났다. 4월 연휴에 더해 소규모 기업체 관광 및 청소년 수학여행 등 단체관광이 증가한 덕분이다.

반면 홍콩 관광객은 해외여행 수요가 위축돼 지난해 동월 대비 15.9% 감소했다.

그 밖의 국가들은 봄꽃 시즌 방한 상품 판매가 호조를 보이고 인센티브 단체관광이 늘어남에 따라 작년 같은 기간 대비 17.1% 늘어났다.

유럽·미주와 기타 지역의 경우 항공권 할인 및 봄 시즌 상품 판매가 호조를 보이며 지난해 동월과 비교해 3.5% 증가했다.

한편 4월 해외로 나간 우리나라 관광객은 지난해 동월 대비 11.3% 증가한 223만200명이었다.

※ 주요국 방한 시장 입국통계 (단위: 명, %)

┌─────┬───────────────┬───────────────┐

│ 구 분 │ 4월 │ 1∼4월 │

│ ├─────┬─────┬───┼─────┬─────┬───┤

│ │ 2018년 │ 2017년 │성장률│ 2018년 │ 2017년 │성장률│

├─────┼─────┼─────┼───┼─────┼─────┼───┤

│ 총계 │ 1,331,709│ 1,075,899│ 23.8│ 4,699,260│ 4,782,314│ -1.7│

├─────┼─────┼─────┼───┼─────┼─────┼───┤

│ 중국 │ 366,604│ 227,811│ 60.9│ 1,420,485│ 1,744,626│ -18.6│

│ │ │ │ │ │ │ │

├─────┼─────┼─────┼───┼─────┼─────┼───┤

│ 일본 │ 213,853│ 165,748│ 29.0│ 843,653│ 780,120│ 8.1│

├─────┼─────┼─────┼───┼─────┼─────┼───┤

│ 대만 │ 105,177│ 79,203│ 32.8│ 363,157│ 299,168│ 21.4│

├─────┼─────┼─────┼───┼─────┼─────┼───┤

│ 미국 │ 89,209│ 83,485│ 6.9│ 295,232│ 265,906│ 11.0│

├─────┼─────┼─────┼───┼─────┼─────┼───┤

│ 홍콩 │ 66,533│ 79,067│ -15.9│ 214,134│ 219,270│ -2.3│

├─────┼─────┼─────┼───┼─────┼─────┼───┤

│ 태국 │ 64,720│ 56,351│ 14.9│ 208,824│ 190,754│ 9.5│

├─────┼─────┼─────┼───┼─────┼─────┼───┤

│ 필리핀 │ 49,053│ 47,256│ 3.8│ 147,697│ 159,577│ -7.4│

├─────┼─────┼─────┼───┼─────┼─────┼───┤

│ 베트남 │ 50,727│ 31,324│ 61.9│ 129,176│ 88,697│ 45.6│

├─────┼─────┼─────┼───┼─────┼─────┼───┤

│말레이시아│ 41,735│ 34,441│ 21.2│ 124,222│ 105,656│ 17.6│

├─────┼─────┼─────┼───┼─────┼─────┼───┤

│ 러시아 │ 31,313│ 26,719│ 17.2│ 99,869│ 86,872│ 15.0│

├─────┼─────┼─────┼───┼─────┼─────┼───┤

│인도네시아│ 27,913│ 24,278│ 15.0│ 79,888│ 86,881│ -8.0│

├─────┼─────┼─────┼───┼─────┼─────┼───┤

│ 싱가포르 │ 21,130│ 22,912│ -7.8│ 62,069│ 62,634│ -0.9│

└─────┴─────┴─────┴───┴─────┴─────┴───┘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