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기계톱으로 인해 손이 찢기거나 신체 일부가 절단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1년새 2배 가까이 늘어났다. 특히 나이대가 높을수록 관련 사고가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연도별 기계톱 관련 안전사고 현황. 한국소비자원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연도별 기계톱 관련 안전사고 현황. 한국소비자원 제공.
23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기계톱 안전사고는 189건으로, 전년(100건) 대비 89.0%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대로 보면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접수된 356건 가운데 60대 이상이 205건(57.6%)으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50대(26.7%), 40대(9.6%)로 이어지는 등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사고 빈도도 높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부상 부위는 팔·손(49.4%)과 둔부·다리·발(44.1%)이 거의 대부분이었고, 머리·얼굴(4.5%)도 소수 있었다. 증상은 주로 열상(찢어짐)이 86.8%로 가장 많았고, 절단(3.7%)과 골절(3.3%)과 같은 중상을 입은 사례도 있었다. 발생 장소는 절반 이상인 67.1%가 주택에서 발생했고, 이외에 자연·관련 시설(15.9%), 농수축산업 지역(10.4%) 순으로 이어졌다.
기계톱 사고는 고속으로 돌아가는 칼날 앞부분이 물체에 닿을 때 갑자기 톱이 튀어오르는 킥백(kick back) 현상이나 톱날에 옷자락이나 장갑 등이 말려들어 가면서 발생한다. 소비자원은 기계톱을 사용할 때 반드시 보호장구를 갖추고 느슨한 옷이나 장신구 등은 착용하지 말라고 당부했다. 또한 기계톱 작동 전에 사용설명서를 숙지하고, 작업 반경 내 주변 환경을 수시로 확인해야 한다고 밝혔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안전 취약계층인 고령자 및 농촌 소비자와 관련된 안전사고 동향을 모니터링하여 신속하게 예방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