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취업자 113만명 증가는 ‘착시현상’

1월 취업자 113만명 증가는 ‘착시현상’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22-02-16 22:24
수정 2022-02-17 02: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코로나 충격에 ‘고용 쇼크’
기저효과로 22년 만에 최대폭
도소매업·숙박업 등 상황 나빠

이미지 확대
지난달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113만명이나 늘었다. 약 22년 만에 가장 큰 증가폭이다. 하지만 지난해 코로나19 충격으로 고용이 워낙 좋지 않았던 터라 기저효과, 즉 통계적 착시현상이 상당 부분 작용했다. 특히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 고용 상황은 아직도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하는 등 여전히 ‘터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6일 통계청의 ‘1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695만 3000명으로 1년 전보다 113만 5000명 늘었다. 외환위기에서 회복되던 2000년 3월(121만 1000명) 이래 21년 10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폭이다. 이렇게 많이 늘어난 건 비교 대상인 지난해 1월이 취업자가 98만 2000명이나 감소한 ‘고용 쇼크’의 달이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이전인 재작년 1월(2680만명)과 비교하면 15만 3000명 늘었다. 이제서야 코로나19 충격을 어느 정도 털어낸 것이다.

기저효과를 누린 측면이 크지만 지난달 고용지표가 개선된 건 사실이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59.6%로 1년 전보다 2.2% 포인트 올랐다. 반대로 실업률(4.1%)은 1.6% 포인트 떨어졌다. 연령별로는 20대(27만 3000명)·30대(2만 2000명)·40대(2만 4000명)·50대(24만 5000명)·60대 이상(52만 2000명) 등 모든 연령대가 90개월 만에 늘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페이스북에서 “기저효과를 감안해도 100만명 이상 취업자가 증가한 데 대해 남다른 감회가 든다”며 “양적·질적 측면에서 뚜렷한 개선 흐름이 분명히 나타나고 있다”고 자평했다. 하지만 산업별로 보면 여전히 격차가 나타났다. 도소매업은 지난달에도 5만 6000명 줄었다. 지난해 1월 큰 폭(-21만 8000명)의 감소에서 또다시 뒷걸음친 것이다. 숙박·음식점업은 12만 8000명 늘었지만, 지난해 1월(-36만 7000명) 감소폭을 3분의1 정도밖에 회복하지 못했다.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2만 5000명)도 지난해(-8만 1000명) 감소폭에 비하면 회복이 미미했다. 이들 산업은 코로나19 충격이 특히 큰 업종이다.

박영범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난달 증가한 취업자의 절반이 60대 이상으로 파악되는 등 고용이 아직 정상으로 돌아왔다고 보기 어렵다”며 “청년이 필요로 하는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정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22-02-1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