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후 13년 3개월 만에 최고
우크라 사태 장기화·물류난 영향

우크라이나 곡창지대의 밀밭. 로이터 연합뉴스
밀 수입가격 인상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장기화와 전 세계적인 물류난으로 인한 해상운임이 상승한 영향이 컸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는 주로 사료용 밀을 수입하지만 우크라이나 사태로 국제 곡물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3월 수출입 컨테이너 운임은 수입 컨테이너 2TEU(40피트 표준 컨테이너)당 미국 서부가 289만 6000원으로 전년동월 대비 37.5% 상승한 가운데 미국 동부(35.8%), 유럽연합(9.9%), 중국(54.4%), 일본(32.3%), 베트남(99.1%) 등 전 노선이 크게 올랐다.
수입 밀 가격 상승은 국내 식품과 사료 등의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한국소비자원의 가격정보 종합포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지역의 칼국수 평균 가격은 8113원으로 1년 전보다 8.7% 올랐다. 서울의 칼국수 가격이 8000원을 넘은 것은 처음이다. 수입 밀 가격 상승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분기 곡물 수입단가지수가 식용 158.5, 사료용 163.1로 전 분기 대비 10.4%, 13.6% 상승할 것으로 추산했다.
2022-04-21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