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분기(4∼6월) 한국 경제가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민간 소비 회복 영향으로 0.7% 성장했다.
한은은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전분기 대비)이 0.7%로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분기별 성장률(전기대비)은 코로나19 발생과 함께 2020년 1분기(-1.3%)와 2분기(-3.0%)에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3분기(2.3%), 4분기(1.2%)와 2021년 1분기(1.7%), 2분기(0.8%), 3분기(0.2%), 4분기(1.3%), 올해 1분기(0.6%)에 이어 이번까지 8개 분기 연속 성장세를 유지했다. 올해 2분기 성장률은 직전 분기보다 0.1%포인트 올랐다.
한은은 지난달 남은 분기에 0.5%씩 성장하면 올해 성장률 전망치(2.7%)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는데, 2분기 성장률은 0.5%를 웃돌았다.
2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의류·신발 등 준내구재와 음식숙박·오락문화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3.0% 상승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투자가 위축되면서 1.0% 줄었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0.6% 올랐다.
정부소비의 경우 사회보장현물수혜를 중심으로 1.1% 증가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분기 성장률을 떠받쳤던 수출은 화학제품·1차 금속제품 등을 중심으로 3.1% 줄었다. 성장률이 2020년 2분기 이후 가장 낮다.
수입은 원유·천연가스 등을 중심으로 0.8% 하락했다.
2분기 성장률에 대한 민간소비, 정부소비의 기여도는 각각 1.4%포인트, 0.2%포인트로 분석됐다. 소비가 2분기 성장률을 끌어올렸다는 의미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