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업계 3분기도 호실적… 커지는 ‘그리드플레이션’ 비판

식품업계 3분기도 호실적… 커지는 ‘그리드플레이션’ 비판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23-11-14 18:57
수정 2023-11-15 00:5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농심·오리온·삼양 등 매출 상승
영업이익률 올 들어 유독 늘어
농심 6.78%로 두 배 이상 껑충
“올해 정상화된 것… 착시효과”

밀·팜유 수입가 24%·36% 하락
‘장바구니’ 제품값에 반영 안 돼

이미지 확대
정부가 ‘장바구니 물가 잡기’에 소매를 걷어붙인 가운데 국내 메이저 식품업체 상당수가 올해 상반기(1·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호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비판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원자재 가격 상승을 이유로 제품 가격을 잇따라 올렸던 기업들이 원자재 가격이 하락세에 접어든 뒤에도 제품 가격 반영에 미온적인 자세를 보이며 수익을 높였다는 것으로 ‘그리드플레이션’(기업의 욕심에 따른 물가 상승) 기업이라는 낙인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농심은 올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 8559억원, 영업이익 557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103.9%, 5.3% 증가한 수치다. 오리온은 3분기 연결기준 매출 7663억원, 영업이익 1407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3.4%, 영업이익은 15.6% 늘었다.

삼양식품은 매출 3352억원, 영업이익 434억원을 기록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8.5%, 영업이익은 124.7% 상승했다. 오뚜기의 매출은 9087억 600만원, 영업이익은 829억 8600만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0.6%, 87.6% 늘었다. 매일유업은 매출 4435억원, 영업이익 171억원으로 같은 기간 4%, 63.7% 늘었다. 빙그레도 매출 4342억원, 영업이익 654억원으로 11.2%, 153.9% 증가했다.

이미 3분기 실적을 발표한 동원F&B는 전년 동기 대비 39.7% 증가한 63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매출은 같은 기간 39.7% 오른 1조 2075억원이었다.

특히 해마다 비슷한 수준을 유지해 온 영업이익률(영업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이 올 들어 유독 늘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주요 식품업계의 영업이익률은 오리온이 지난해 3분기 15.83%에서 올해 3분기 16.42%, 오뚜기가 6.41%에서 8.13%로 오르는 등 대부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심의 경우 같은 기간 영업이익률이 2.86%에서 6.78%로 두 배 이상 늘었다. 농심 측은 “지난해 국제 원자재 가격 폭등으로 영업이익률이 급락했다가 올해 정상화된 일종의 착시효과”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그동안 농심의 누적 영업이익률이 2021년 3.55%, 2022년 2.58% 등 해마다 약 3% 내외를 기록한 것을 고려하면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식품업계가 그리드플레이션을 야기해 반사이익을 얻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따른 여파로 급등했던 국제 곡물 가격이 안정세를 되찾는 등 주요 원자재 가격이 큰 폭으로 떨어졌음에도 제품 가격에는 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리드플레이션은 탐욕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식품 업체가 원자재 가격이 올라갈 때는 제품 가격에 이를 즉각 반영하지만 가격이 내려갈 때는 반영하지 않거나 더디게 반영하는 것을 말한다.

실제로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에 따르면 빵, 과자, 라면 등의 주요 원재료인 밀가루(소맥분)와 팜유의 수입가격은 올해 3분기 전년 동기 대비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맥분은 1㎏당 472.4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2%, 팜유는 1ℓ당 943.8원으로 같은 기간 36.4% 하락했다.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문성호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서대문2)이 2년 전 폭우로 축대가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했던 연희동 주민들이 이번 폭우로 지반 붕괴 등을 우려하는 민원을 전함에 있어, 직접 순찰한 결과 현재 문제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으며 특히 경사가 가파른 지역인 홍제천로2길 일대의 안전을 위해 연희동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에서 방벽 공사 및 기반 시설 보강으로 견고한 대비가 구축되었음을 전했다. 문 의원은 “2년 전 여름, 폭우가 쏟아지는 중에 연희동에서는 축대가 무너지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다행히 매몰되거나 사고를 입은 주민은 없었으나, 인근 주민들이 대피하는 등 삶에 충격을 가했다. 그러한 사고가 있었기 때문인지 폭우경보가 있는 날이면 연희동 해당 일대 주민들의 우려가 늘 들려온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문 의원은 “특히 연희동 홍제천로2길 일대는 경사가 가파른 탓에 폭우가 쏟아지는 날에는 물줄기 역시 빠르고 강한 힘으로 쏟아져 내려오기에 매우 위험함은 모두가 익히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본 의원이 직접 야간에 현장을 순찰한 결과, 다행히도 미리 구축된 방벽과 벙커형 주차장의 견고하고 또 체계화된 물 빠짐 구간 구축으로 아무런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며 설명을
thumbnail - 문성호 서울시의원 “연희동 견고한 폭우 방어 태세, 연희1구역재개발조합이 주민 안전 보장 확실한 기여”

식품 업체들은 소맥분, 팜유 등 일부 원자재 가격은 내리고 있으나 다른 원자재 가격이 오르고 있어 제품 가격을 쉽게 내릴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2023-11-15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