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 ‘최근 경제동향’ 1월호 발표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경제 심리 위축”
계엄 여파로 지난달 소비·고용 지표 악화


연말 특수 없는 음식점 골목
24일 서울 시내의 식당 골목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행은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8.4로, 11월보다 12.3포인트(p) 낮아졌다. 정치 불확실성이 커진데 따른 소비자심리 위축,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으로 CCSI가 하락했다고 밝혔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지수가 100보다 크면 소비자의 기대 심리가 장기평균(2003∼2023년)과 비교해 낙관적이며,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2024.12.24 뉴시스
지난해 12월 발생한 비상계엄의 여파로 정부의 경기 진단에서 부정적 기류가 지속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17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월호에서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경제 심리 위축 등으로 고용이 둔화하고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12월 정부는 경기 진단에서 ‘경기 회복’ 문구를 14개월 만에 삭제했다. 이어 이달에는 ‘고용 둔화’ 진단을 추가하면서 경제 상황 우려를 강조했다. 지난달에는 “대내외 불확실성으로 경기 하방 위험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고 했으나 이달엔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는 명확한 문구를 사용했다.
세계 경제와 관련해서도 “전반적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지정학적 리스크가 여전한 가운데 통상환경 변화 가능성 등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정부의 이 같은 경기 진단은 지난 15일 발표된 고용동향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12월 취업자는 전년 대비 5만 2000명 감소했다. 취업자 수가 감소한 것은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정점인 2021년 2월(-47만 3000명) 이후 46개월 만이다.
고환율 등 여파로 인플레이션 압력도 커지는 모습이다. 1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1.9%)은 1%대를 유지했지만 전달(1.5%)보다 상승 폭을 키웠다. 지난달 물가 상승은 고환율 탓에 상승세로 전환한 석유류(1.0%)가 견인했다. 최근 고환율 기조는 앞으로 2∼3개월 시차를 두고 가공식품 물가를 끌어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내수 역시도 장기 부진과 비상계엄 여파로 더욱 악화하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는 88.4로 전달(100.7)보다 큰 폭으로 떨어졌다.
기재부 관계자는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컨트롤타워로 관계기관이 공조해 2025년 경제정책방향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경제를 최대한 안정적으로 관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