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련 2분기 경기전망지수 80.7
부동산·식음료·석화 등 악화 우려

중견기업연합회 제공
우리 경제의 허리 역할을 하는 중견기업들은 올해 2분기 경기가 1분기보다 더 악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부동산이나 식음료품, 석유화학 등 업종 기업들의 경기 전망이 더욱 부정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지난달 17∼28일 중견기업 800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5년 2분기 중견기업 경기 전망 조사’ 결과 2분기 경기 전반 전망지수는 80.7로 기준선인 100을 밑돌았다고 31일 밝혔다. 전망지수가 100보다 크면 직전 분기보다 경기 상황을 긍정적으로 본다는 평가가, 100보다 작으면 부정적으로 본다는 평가가 우세해 2분기에 대한 경기 전망이 어둡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지수는 1분기와 비교하면 0.4포인트 상승했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6포인트나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1분기와 비교하면 2분기 때는 부동산(70.9→63.7), 식음료품(83.5→64.1), 자동차·트레일러(84.7→76.8), 전자부품·통신장비(84.1→79.9), 화학물질·석유제품(74.4→67.9) 등 업종의 전망이 더 어두워졌다. 1차 금속·금속가공(61.7→66.3), 건설업(69.9→72.8), 기타 비제조업(80.6→86.8) 등은 전 분기보다 지수가 올랐지만 기준선에는 한참 못 미쳤다.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수출 전망지수는 97.2로 전 분기보다 3.1포인트 상승했지만 여전히 부정적 전망을 벗어나지 못했다. 제조업 수출 전망은 전 분기(91.7)보다 7.9포인트 오른 99.6으로 집계됐다. 내수 전망지수는 76.7로 전 분기 대비 3.4포인트 감소했다. 생산 전망지수는 0.8포인트 낮아진 90.3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 전망지수는 3.1포인트 내린 83.1로 나타났다. 자금 전망지수는 제조업 1.0포인트 하락한 89.2를 각각 기록했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급변하는 경제 환경 변화에 대응해 수출과 내수 활력을 빠르게 회복하기 위해서는 내수 부진, 인건비 상승, 업체 간 과당 경쟁, 원자재 가격 상승, 환율 변동 등 중견기업들의 경영 애로를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